어린이과학동아
"개념"(으)로 총 3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가 아니라고?!기사 l20190331
- 평행선은 이렇게 만나게 됩니다. 네 번째,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한 모순입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중학교 2학년 때 나오는 개념입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란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를 각각 a, b라 하고, 빗변의 길이를 c라 하면 a2+b2=c2이 성립한다는 거입니다. 하지만 이 위대한 발견은 구면 위에서는 모순 ...
- 신문을 파헤치다.팍팍!수업을 다녀와서~기사 l20190201
- 들었습니다. 이번 수업시간엔 큐브 만들기를 통해 신문의 정의 신문의 제작과정 ,신문기자의 분류,전서구,지령,단수구분,제호 등의 개념을 쉽게 배우고 기억할 수 있었습니다. 빙글빙글 돌리다보면 눈 깜짝할 사이에 공부가 됩니다. 제가 수업내용 중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은 신문의 육하원칙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육하원칙이란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
- 첫 포스팅으로부터 1주년포스팅 l20190125
- 포스팅을 안씀) 그렇지만 옛날부터 댓글 달고 포스팅 구경 많이 해서(2017년 가을부터) 보통 신입 기자분들 잘 모르는 포폴, ds, 스티커 그 외에 대한 개념들은 다 알고있었죻ㅎ 그때는 낮은 렙을 달고 활동하는게 좀 무시받을거라 생각해서 포스팅 처음 쓴게 2~3렙쯤이었을거예여 음 그냥 그렇다고요 첫 포스팅 1주년 기념해서 앞으로도 열활 해보도 ...
- 콘택트렌즈의 발명기사 l20180916
- 담글 때 물이 각막의 굴절력(빛의 방향을 바꾸는 힘)을 바꿀수 있다고 썼습니다. 이후 데카르트 와 토마스 영, 허셜 등이 콘텍트렌즈의 개념을 발전시켰고, 1888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최초의 콘텍트렌즈가 세상에 나왔습니다. 1930년대부터는 유리 대신 플라스틱 재질 콘텍트렌즈가 생겼고, 1970년대에는 하이드로겔 재질의 소프트 콘텍트렌즈가 널리 ...
- 유튜브 크리에이터 교육 with sba에 다녀와서기사 l20180810
- 관리해야 하고, 영상의 내용과 게시할 때의 사진(썸네일)을 바르고 좋게 올려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기본 자세와 개념을 배운 뿌듯한 시간이었습니다. 다음 2교시 1시간 동안은 유명 유튜브 크리에이터 1분과학님께서 나오셔서 강의하셨습니다. 1분과학님은 생명체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강의해주셨습니다. 생명체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
- 숫자 0이 세상에서 사라진다면?기사 l20180803
- 저는 강민준 기자 입니다. 숫자 0이 얼마나 고마운 숫자인지 알려주기 위해 이 기사를 쓰게 되었습니다. 옛날에는 0이라는 개념이 없었답니다. 그래서 만약 505라는 숫자를 쓰고 싶으면, 5와 5사이를 비워두고 썼습니다. (505=5 5) 어떤 경우엔 55인지 505인지 헷갈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면 물건을 사고 팔고에 불편했겠죠? 그래서 0이 ...
- 자동차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현대 모터 스튜디오 고양을 다녀왔어요.기사 l20180525
- 사람이 없어도 자동차가 움직이는 단계가 바로 레벨5입니다. 사실상 '무인자동차'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운전자가 아니라 탑승자의 개념에 가까워진다고 할 수 있죠. 운전자의 개입이 없기 때문에 운전석, 핸들, 페달 등이 필요 없어 차량 내부는 탑승자의 편의를 높이는 디자인으로 바뀔 것이라는 예측이 있습니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위와 같은 단계로 이 ...
- 영미! 탄성력과 마찰력으로 고무줄 컬링도 부탁해! - 꿈돌이 사이언스 페스티벌기사 l20180429
- 책임을 맡게 되었습니다. 우리 부스는, ‘영미~ 탄성력과 마찰력으로 고무줄 컬링도 부탁해!’ 라는 주제로 컬링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을 설명하고 체험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운영되었습니다. 부스마다 각자 운영 방식이 달랐는데, 저희 부스의 운영 방식은 이러하였습니다. 한 회차에 8명씩 받고, 예약은 바로 다음 회차 예약만 받았습니다. 예를 들어, ...
- 어린이과학동아 예절을 지켜요.기사 l20170731
- '무개념'이라고 하는 말은 좀 심한 것 같습니다. 그 기자분도 다른 기자 분들과 같은 사람이니 기분이 나쁠 수 밖에 없겠죠. 그래서 '무개념'이란 말은 자제하고 하지 말라는 말을 입모아 하거나 아니면 무시하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계속 말해도 안통하니까요. 그러니 이 점은 참고해주세요. 그리고 댓글로 질문을 했을 때 ...
- 멕시코 학교의 수업방식기사 l20170722
- 갑니다. 수업이 끝나면 우리는 집에 갈 수 있습니다. 다만 부모님께서 우리를 데리러 오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멕시코는 "인도" 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차도만 있어서 차로 부모님들께서 데리러 오십니다. 시간표 07 : 00 - 07 : 45 등교시간 및 책, 공책과 준비물 준비시간 07 : 45 - 10 : 06 1교시부터 3교시까지 10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