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망원경"(으)로 총 3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수 엑스포에서 좋았던 것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살아있는 박물관 -빅 오 쇼 (BIG포스팅 l20140504
- 여수 엑스포에서 좋았던 것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살아있는 박물관 -빅 오 쇼 (BIG O SHOW) -전망대 망원경 물론 이건 그냥 제 기준 입니다. 여러분 입장에서는 다를 수 있습니다. ...
- 오늘 동아사이언스 지하 1층 사이언스홀에서 '중력파의 흔적'에 대해 자세히 들었어요.포스팅 l20140405
- 이석천박사님 이에요. 콕 찍어서 말하자면 '중력파가 시공간을 뒤튼다'에 대해 아주~자세히 이야기 해주신 것 이죠. 최근에 BICEP2라는 망원경으로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한 결과, 중력파가 있어야 나타난다는 특이한 패턴을 발견했다는 뉴스와 관련된 이야기예요. 하지만 너무 전문적인 이야기라서 다 이해하기는 어려웠답니다. 그래도 중력파가 타원형으로 요 ...
- 서울과학관 가족천문 교실 다녀왔어요 예전에 별학교에서 태양과 별, 달은 관찰해 봤었는데 천포스팅 l20140316
- 서울과학관 가족천문 교실 다녀왔어요 예전에 별학교에서 태양과 별, 달은 관찰해 봤었는데 천체망원경 조립은 처음이라 재미있고 신기했어요. 밤10시까지 인공위성, 별자리, 목성 관찰하고 왔습니다. 다음에 또 가고 싶어요~^^ ...
- 동아사이언스 어린이 기자단 기자교육 어린이 기자단의 첫 번째 기자교육기사 l20140309
- 인터뷰 → 취재내용 올리기 → 기사 게재 이다. 먼저, 천체망원경으로 태양을 볼 때 주의할 점 교육 및 태양관측을 하였다. 그리고 망원경에 휴대폰을 대어 태양의 사진도 찍었다. 그런 다음, 천체 관측관의 바로 옆에 있는 천체 투영관에서 별들도 보았다. 그리고 잠시 자유를 가진 다음, 회의실로 가서 인터뷰 및 취재내용 올리기를 ...
- 여긴 부산의 궁리마루입니다. 궁리는 생각하는걸 말하고 마루는 옛날집에 많이 있었던 대청마루포스팅 l20140308
- 얘기하자는 뜻인것 같아요. 수학.과학을 교과서 없이 만들고 체험하며 배우는 곳이죠... 여기에서 공부하면서 수학과 과학이 더 좋아졌어요... 금요일 밤에는 천체망원경으로 별자리도 볼 수있어요.. 이곳이 궁금하다면 부산에 올 때 한 번 들러보세요. 수학.과학 투어도 해 볼 수 있어요. 인터넷으로 꼭! 예약하시구요.^ ... ...
- 금성이 목성 보다 크게 보이는 건 뇌 시신경 교란 때문기사 l20140306
- 훨씬 더 밝은 최대 -5등급으로 분류됩니다.실제 밤하늘에서 육안으로 ‘금성이 목성보다 더 크게 보이는’ 것도 사실입니다.그러나 망원경으로 관측할 경우 “육안으로 보는 것과 반대로 금성이 작다”는 것은 500년 전에 밝혀진 정설의 과학입니다.목성은 금성보다 지구와 떨어진 거리가 훨씬 멀긴 하지만 워낙 커 태양계에서 지존과 같은 행성인 까닭입니다. ...
- 美학자들 케플러망원경 분석결과, “우리 은하계 ‘제2의 지구’ 후보 200억 ~ 400억개”기사 l20140305
- 제프리 마시, 하와이대 앤드루 하워드 박사는 4일자 ‘미국국립과학아카데미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서, 나사의 케플러우주망원경이 수집한 데이터를 지난 3년간 분석해 통계치를 산출한 결과 이른바 ‘골디락스 존(Goldilocks Zone)’에 있는 ‘제2의 지구’ 후보 별들이 수백억 개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골디락스 존’이란 태양 ...
- 태양에 대한 모든 것기사 l20140227
- 이라고 하는 방법을 씁니다.투영법은 망원경의 '접안 렌즈'에 조금 떨어져서 하얀 판을 비추면 태양과 흑점 들이 보일껍니다. 2번째는 망원경의 '대물렌즈' 끝 부분에 필터를 끼워 보는 방법입니다.책에서 본 태양과 다르게 보이는것 같다고요?그 사진은 'H알파 필터' 라고 하는 고성능 필터를 끼워 찍은 사진입니다..'H알파 필터'는 태양 ...
- ㅎㅎ 기자단교육 정말재미있었다 사진은 다 컴퓨터에 ^^; 태양의 흑점 하나가 지구보다크다.포스팅 l20140227
- 정도 떨어져있어서 작게보이는 것이다. 망원경으로 태양을보면 눈이 탈수도있다. 그래서 필터를 끼고 보거나 '투영법'이라는 방법을 써서봐야한다. 투영법은 망원경에있는 태양을 흰 판에비춰 보는 것이다. 옛날 사람들은 북극성을 찾아 북쪽을 알았다고 한다..... 대충 정리된거 같은데?ㅋㅋ 끝~ ds지수 빨리 올려야 되는데 잘 안올나간다 . ...
-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체험을 마치고 내게 또 하나의 도전기사 l20140227
- 같단 생각에 질문을 적었는데 물어볼 엄두가 나지 않아서 망설일때 다른 친구들이 물어봐서 답을 들을 수 있었어요. 대학에서는 주로 망원경으로 별과 태양을 관찰하는 재미있는 체험보다는 연구를 많이 한대요. 대학에서 천문학을 배우려면 수학과 물리를 잘해야 한대요. 휴~그래서 아버지께서 천문학을 중간에 포기하셨나봐요. 별을 가슴에 키우고 싶으셔서요.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