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위성"(으)로 총 4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트론 호수기사 l20210104
- 윤세온 기자입니다. 오늘은 나트론 호수를 알아볼 거예요. 나트론 호수는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있는 큰 빨간 용암 호수예요. 위성에서도 한 눈에 볼 수 있을 만한 크기다. 나트론 호수는 닿기만 해도 5초 안에 수분을 빼앗아 미라로 만든다. 고대 이집트에서도 미라를 만들 때 수분을 빼서 만들었다. 나트론 호수는 '죽음에 호수' 라고도 불린다. ...
- (태양계 3탄)수성과 금성!! 짧지만 유익한 지식!!기사 l20210101
- 초저녁에만 볼 수 있답니다. *수성 (출처 : sally의 블로그) 반지름 : 2440 km(지구의 약 0.4배) 자전주기 : 약 59일, 공전주기 : 약 88일 위성 : 없음, 고리 : 없음 하지만 수성과 금성은 다른 점도 많습니다. 가장 크게 다른 점은 대기입니다. 금성은 대기가 있지만 수성에는 대기가 없기 때문입니다. 대기가 없으 ...
- (태양계 1탄)태양계 가족을 소개합니다!! 짧지만 유익한 지식!!기사 l20201231
- '위성'이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태양 주위를 도는 것은 행성, 행성 주위를 도는 것은 위성이라고 합니다. 태양계는 태양과, 행성, 위성 외에도 *왜소행성, *소행성, *혜성 같은 작은 천체들도 있습니다. *왜소행성 : 태양 주위를 도는 천체 중에 행성보다 작고 소행성보다 큰 천체 *소행성 : 태양 주위를 도는 천체 ...
- VANTA Black이란?기사 l20201231
- 않아 VANTA Black이 도표된 표면은 마치 검은 홀, 혹은 검은 평면처럼 보이게 됩니다. 가시광선 뿐 아니라 적외선 영역까지 흡수하며 인공위성의 위장용 도료로 개발되어 천체망원경의 내부 도색용 도료로 되고 있으며 패션/예술 분야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너무 비싸고 스크래치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019년 ...
- 세계최초! 우리한국의 자율주행주차!기사 l20201220
- 해야겠죠? 교통상황이나 주행환경을 파악하는것인데요, 이를 해내기 위해서는 4가지의 핵심부품이 장착됩니다. 먼저 GPS입니다. 위성을 통하여 차량의 현재위치와 지형을 파악하는 것이죠 다음은 레이저 스캐너인데요, 다른차량이나 장애물, 거리와 속도, 각도 등을 계산하여 측정하는 전자기파 센서를 말합니다. 그리고 레이저스캐너와 비슷한 유형으로 그 ...
- 부르즈 할리파 건설에 관련된 것기사 l20201218
- 1층씩 만드는 기법으로 공사 기간을 단축시켜 주었습니다. 또 바람을 이겨내기 위해 사막에 핀 꽃을 형상화 시켰다고 합니다. 또 인공위성을 이용한 측량 시스템을 쓰기도 했는데요, 지상에서 1도에 차이가 나면 800m 상공에서는 14m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정확한 측량 시스템을 이용해야 했습니다. 이상 박주승 기자였습니다. (참고:나무위키, 삼성 ...
- 소설 표지 만들어주실부운~포스팅 l20201202
- 판타지구요 제목은 데이모스에요 데이모스는 화성의 위성입니다. 표지는 배경에 화성이 있고 우주선과 우주인이 떠다니는거요. 만들어주시면 소원권 2장입니다... ...
- scp-701*무서움주의*포스팅 l20200919
- 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이 가설에 대한 증거는 19██에 사건이 발생했을 때 ████ ██████ 수준의 급격한 증가가 인공위성으로 관찰된 것으로, 이는 [편집됨]을 가리킨다.재단 요원들은 SCP-701의 출판물이나 공연이 발견 혹은 감지될 때 마다 제거하도록 명령을 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연극은 온라인 상으로 퍼지고 ...
- 재미있는 제주항공우주박물관기사 l20200910
- 길이 있었어요. 실내 놀이터에서 조금 놀다가 전시실으로 들어 갔어요. 전시실에는 무언가가 많이 있었어요.우주에 관한 영상과 인공위성 사진 등이 있었지요. 그 다음 전시실을 나와 만들기를 하러 갔어요. 저는 만화경을 만들었어요. 만들기를 끝낸 뒤 오후에 뭐를 할지 정하다 점심을 먹으러 3층으로 올라갔어요. 점심을 먹은후, 다시 2층으로 내려갔 ...
- 대구과학관 특별전을 보고기사 l20200811
- 처음에는 지구 중심으로 다른 행성들이 돈다고 주장하는 천동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금성이 보름달처럼 보인다는 것과 목성의 위성 등을 증거로 천동설이 아니고 태양계의 행성들이 태양 중심으로 돈다는 지동설이 나왔습니다. 그래도 저는 천동설 덕분에 지동설이 나왔으니까 천동설이 대단한 시도였다고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물리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