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상
형세
상태
외관
모양
모습
경우
뉴스
"
국면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세돌 vs 알파고 12일 제3국] ‘알 사범’ 아킬레스건은?
동아일보
l
2016.03.12
뒤 휴식을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3국은 이 9단의 흑번이어서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국면
을 리드하는 포진을 구상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이 9단은 2국 후 인터뷰에서 “중반 이전에 우세를 확보하지 못하면 이기기 힘들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서정보 기자 suhchoi@donga.com [화제의 뉴스] - ... ...
[알파고 2승][제2국 분석] 알파고에게 ‘당연한 수’는 당연하지 않았다
2016.03.11
신중하게 대국에 임하고 있습니다. 어제와 달리 먼저 싸움을 걸어가지 않고 차분하게
국면
을 운영하자 알파고가 먼저 도발해 옵니다. 이 싸움의 이해득실이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백 62수: 백 62수 - 바둑의 제왕 제공 싸움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이 결과는 어떨까요? 대국을 ... ...
“구글 창조물, 학습능력 보여줘” “알고리즘이 인간 직관력에 앞섰다”
동아일보
l
2016.03.10
대결은 컴퓨터 알고리즘과 인간 직관력의 대결이었다”며 “이 9단이 경기 대부분
국면
을 유리하게 유지하다가 마지막 20분에 역전당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그가 경기 도중 한숨을 쉬며 고개를 젓는 등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했다. AP통신은 “바둑 기사는 직관에 의존해 바둑을 두지만 ... ...
[알파고 1승]“정교하지 못한 알파고, 남은 대국 이세돌 승리 가능성 높아”
2016.03.10
패턴이 나왔을 때 번지수가 틀린 족보를 따라 하면서(백86) 이세돌 9단이 상당히 유리한
국면
이 되었다. 그러나 이후 이세돌 9단에게서 믿기 힘든 큰 실수가 거듭 나오면서 결국 패배하고 말았다. 끝까지 뒀으면 반면으로 흑이 1~2집 남기는 형세였다고 한다. 11. 남은 대국 예상 첫번째 대국이 ... ...
[알파고 1승][제1국 분석] 이세돌이 돌을 던지게 만든 ‘신의 한 수’는?
2016.03.09
합니다. 이제는 약한 돌도 없고 변화의 여지도 없어서 이세돌 9단이 역전시키는 불가능한
국면
입니다. 이후에 30여 수를 더 진행했지만 차이를 좁히는데 실패했고 이세돌 9단은 쓴웃음을 지으면서 186수에 결국 패배를 인정합니다. ※필자소개 김찬우. 프로6단이자 ㈜에이아이바둑 대표. 2006년부터 2 ... ...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 ②
과학동아
l
2016.02.06
주변을 어슬렁거렸고, 인간은 관용을 베풀었을 뿐이다. 그러나 이제 고양이는 새로운
국면
을 맞았다. 바로 ‘중성화’다. (인간이) 원치 않는 임신이나 질병을 막기 위해 주인들은 자신의 고양이를 중성화시킨다. 존 브래드쇼는 책에서 “장기적으로 인간과 조화를 잘 이룰 수 있는 고양이의 특성을 ... ...
‘인공지능의 선구자’ 마빈 민스키, 그는 누구인가
2016.01.27
민스키 교수가 퍼셉트론이 학습할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음을 입증하면서 새로운
국면
을 맞이하게 됐다. 다니엘라 러스 CSAIL 디렉터는 “민스키 교수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만들었다”며 “그가 남긴 업적과 도전은 여전히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 ...
中, 기술력-영업망 단숨에 확보… 한국기업 턱밑까지 왔다
동아일보
l
2016.01.20
‘스미스 필드’를 인수해 브랜드와 유통망을 거머쥘 수 있었다. 해외 기업 M&A는 저성장
국면
의 탈출구로도 인식된다.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시장이 줄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 기업들은 더 공격적으로 해외 M&A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기업의 M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추정하고 있다. 만일 파지가 없었다면 박테리아와 진핵생물 사이의 관계는 전혀 다른
국면
에서 전개됐을 것이다. 과학자들은 파지를 ‘생물권의 암흑물질(dark matter of the biosphere)’라고도 부르는데, 우주에서 물질보다 5배 이상 질량이 많은 암흑물질이 최근에야 조명을 받듯이 파지도 그렇다는 ... ...
南北 대화 모드, 과학계에도 온풍 부나
2015.08.28
고위급 협상 타결로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양측은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하는 등 대화
국면
으로 돌아섰다. 이런 분위기에 힘입어 과학계에서도 답보 상태에 있던 남북의 과학기술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 시보탑 설치해 표준시 맞춰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