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윙
우익
지느러미
방향조정 날개
시준판
뉴스
"
날개
"(으)로 총 65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우버에어 닮은 도심 개인항공기, 무인 틸트로터 기술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비행하는 모습을 상상한 애니메이션을 소개했다. 이 항공기는 전기로 충전하고, 머리와
날개
에 여러 개의 프로펠러가 앞을 향해 달려 있어 마치 드론처럼 공중에서 소리 없이 날아갈 수 있다. 또 프로펠러의 방향을 바꿔 헬리콥터처럼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도 있다. 지난 1월 미국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사막화된 지구의 미래, ‘화성’에서 배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지구와 가장 환경이 유사한 천체로 꼽힌다. 드래곤플라이는 타이탄 환경에서 날 수 있는
날개
가 4개 달린 헬리콥터 형태의 드론을 활용해 타이탄을 탐사하는 프로젝트로 약 10억 달러(1조 1700억 원)의 자금이 투입된다. 타이탄은 유기물인 메탄으로 이뤄진 강과 호수를 갖고 있고, 암석이 얼음으로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선박용 이어 항공용 위성 안테나 시장도 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최근 항공용 위성 안테나도 개발하고 있다. 박 상무는 "항공기의 꼬리
날개
나 여객기의 동체 등부분, C-130 같은 군용 수송기의 머리 꼭대기 부분에 부착하는 형태"라며 "주로 정지궤도위성 기반 Ku밴드와 Ka밴드를 활용하는데, 처리속도가 300Kbps(킬로비트)~10Mbps로 해상 위성통신보다는 조금 느린 편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뉴스페이스 시대, 대세는 ‘장기간 비행 드론’과 ‘초소형 로켓’”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화성에서는 날기 위해
날개
를 아래에서 받치는 힘인 양력이 부족하다. 탐사 드론의
날개
를 보통 드론보다 거대하게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초소형 인공위성 띄우는 데 딱 맞는 소형 발사체 신동윤 대표가 초소형 인공위성을 궤도까지 발사하는 데 적합한 소형 발사체를 ... ...
[애니멀리포트] 반려새에겐 특별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2019.07.06
발톱을 자를 때는 혹시 상처가 날 수 있으니 지혈제를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날개
보다 피가 덜 나기 때문에 직접 응급처치를 할 수 있습니다. 지혈제가 없다면 옥수수 전분이나 밀가루를 지혈제 대용으로 사용해도 됩니다. 하지만 부리는 수의사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부리가 휘거나 몸에 닿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미세구멍과 미세골격으로 이뤄진 공간이 생겨 투과하는 빛을 교란시킨다. 몰포나비의
날개
비늘 표면 구조에서도 알 수 있듯이 빛의 보강간섭으로 인한 구조색의 효과를 크게 하려면 일정한 간격의 구조가 반복돼야 한다. 연구자들은 정상파 광학(standing-wave optics) 기술을 써서 빛에 민감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위상이 뒤틀리는 '회오리 빛'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인위적으로 빛이 궤도각운동량을 갖도록 만들면 위상적으로 뒤틀린다. 바람개비의
날개
중 하나에만 색을 칠하고 빠르게 돌릴 때 색이 빙글빙글 도는 현상에 비유할 수 있다. 공학자들은 이런 '회오리 빛'을 특수 제작한 렌즈 등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만들어 산업에 응용하려는 연구를 하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로봇벌, 혼자 힘으로 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9
없이 자가발전을 하며 하늘을 날 수 있다. 또 두 개의 액추에이터로 움직이는 네 개의
날개
를 가지고 있으며 60mg의 광발전기와 91mg의 신호 발생기가 달려있다. 로봇 몸체까지 합쳐 총 259mg의 무게를 가졌다. 연구팀은 “로보비 엑스윙이 분당 110~120 밀리와트(mW)의 전력을 소비하며 유사한 크기의 ... ...
간세포에 숨어든 말라리아 생존 비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셀 케미컬바이올로지' 27일자에 발표했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균에 감염된 얼룩
날개
모기 암컷에 물렸을 때 감염되는 전염병이다. 모기에게 물리고 나서 오한,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수 주~수 개월이 걸린다. 그 동안 말라리아 원충은 간세포로 들어가 세포막으로 보호주머니를 ... ...
[이강운의 곤충記] 기생충의 두 얼굴
2019.06.19
낳은 붉은점모시나비 알 반투명한 모시
날개
에 붉은 빛 원형 무늬가 화려한 붉은점모시나비가 배 끝을 기린초에 대고 열심히 알을 낳고 있다. 지금 낳는 알이 다음 세대를 이끌 씨앗이므로 특별한 생존 전략으로 지켜야 한다. 우글거리는 수많은 포식자를 피해 알 속 애벌레(Pharate 1st Larva)로 천적을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