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대기
지팡이
장대
지팡막대
스틱
지팽이
회초리
뉴스
"
막대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만 뿌려도 음식물쓰레기가 싹~
과학동아
l
2014.06.20
좋아하는 온도인 20~25도로 유지하면서 20분 간격으로 물 300mL를 뿌렸다. 물을 뿌리고는
막대
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3분씩 휘저어 산소를 공급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이렇게 분해돼 배출구로 나오는 물질이 하수를 오염시킬 우려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수소이온농도(pH)는 ... ...
속 빈 튜브에 햇빛을 가두다
과학동아
l
2014.06.19
형태의 실리콘 나노구조.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짧은 나노
막대
(SiNR-1), 긴 나노
막대
(SiNR-2), 나노튜브(SiNT), 나노콘(SiNC) 구조의 전자현미경 사진 - 광주과학기술원(GIST) ... ...
초딩이 만드는 착한 정수기
동아사이언스
l
2014.06.11
로켓 만들기' 제2편 '인공태양 만들기' 제3편 '정전기 방지제 만들기' 제4편 '나무
막대
투석기 만들기' 제5편 'CD 분광기 만들기'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이해석 shipda@donga.com 서영표 sypyo@donga.com ... ...
기말고사 치는 그대여, 에너지 음료 대신 숙면을!
과학동아
l
2014.06.10
못한 B그룹 생쥐의 수상돌기 소극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실제로 생쥐들을 다시 회전
막대
위에 올리자 A그룹 생쥐의 균형 감각이 더 우수했다. 연구를 주도한 원 비아오 간 교수는 “잠을 자는 동안 시냅스 연결이 활발해져 잠들기 전 학습했던 내용에 대한 기억력이 증진된 것”이라고 ... ...
‘마법의 렌즈’면 머리카락보다 625배 작아도 보여요
과학동아
l
2014.05.18
연구진이 이 렌즈를 통해 160nm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두 선을 관찰한 결과 각각의 선이
막대
모양으로 선명하게 구분돼 잘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탄소나노튜브 하나하나가 모니터의 단위 픽셀처럼 작동해 이미지를 촬영한 셈이다. 160nm는 머리카락 굵기의 625분의 1 정도로 극도로 작다. ... ...
귀여운 소녀의 위험한 호기심?
동아사이언스
l
2014.05.14
로켓 만들기' 제2편 '인공태양 만들기' 제3편 '정전기 방지제 만들기' 제4편 '나무
막대
투석기 만들기'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이해석 shipda@donga.com 서영표 sypyo@donga.com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루게릭병 약물 가운데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한 9가지의 동물실험 데이터. 청록색
막대
는 논문에 발표된 결과로 모두 유의적인 수명연장효과가 있다(가로축은 수명 증감(%)). 그런데 ALS치료제개발연구소에서 엄밀하게 설계된 동물실험을 한 결과 약효가 있는 게 하나도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검은 ... ...
구글 무인자동차, 복잡한 도로 자유자재로 달려
동아일보
l
2014.04.29
박스로 나타난다. 무인자동차가 지나갈 수 있는 상황이 되자 앞서 있던 붉은색과 초록색
막대
가 사라지고 자가 우회전을 해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HS는 무인자동차 기술에 대해 “구글이 일반 소비자와 정책 입안자들, 보험회사 측에 이 기술의 안전성과 편리함을 ... ...
커피숍 들어서면 저절로 휴대전화 충전
과학동아
l
2014.04.18
에 실렸다. 5m 떨어진 거리에 위치한
막대
코일에서 발생한 209W의 전력은 TV 옆에 놓인
막대
코일을 통해 TV에 공급된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앞으로 와이파이존처럼 ‘무선충전존’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 KAIST ... ...
제주도 곶자왈에 갔더니 생전 처음 보는 미생물이…
과학동아
l
2014.04.07
갈라진 미생물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런 특징을 토대로 다양한 모양의
막대
라는 뜻의 ‘베리박터’를 속명으로, 곶자왈이라는 뜻의 ‘곶자왈엔시스’를 종명으로 이 미생물의 이름을 정했다. 이정숙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 박사는 “그동안 열대 식물과 한대 식물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