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향
사운드
음파
음성
음
목소리
말
뉴스
"
소리
"(으)로 총 2,014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유동물들, 사자보다 '사람
소리
' 더 무서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예민하게 반응했다. 코끼리는 사람의 목
소리
에는 도망쳤지만, 사자
소리
가 들릴 땐
소리
가 나는 곳으로 향해 격렬하게 부딪히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로 인해 연구팀의 장비가 망가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코끼리가 사자에게 공격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점은 선행 연구를 통해 이미 ... ...
김빛내리 "가난해도 학비는 내는데…예산 삭감으로 연구 주춤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왼쪽), 막달레나 스키퍼 네이처 편집장(오른쪽). 과학기자협회 제공 지난 7월 여학생의 이공계 진학을 장려하기 위해 열린 '여학생 공학주간 강연'에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은 "김 빛내리 교수 같은 롤모델을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장관이 '롤모 ... ...
[과기원NOW] 성냥개비 성분으로 ‘고효율 흑연 음극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05
함께 어린이 과학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고 밝혔다. ‘KAIST와 함께하는 마음의
소리
, 어린이 과학 모험 시리즈’ 애니메이션은 과학 상식이 부족한 캐릭터들이 KAIST 소속 전문가를 통해 세상 속 과학 이야기를 배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5월 발사된 누리호에 탑재된 차세대 소형위성 2호를 개발한 ... ...
고양이가 내는
소리
'가르릉' 뇌 활동과는 무관
동아사이언스
l
2023.10.04
의식적으로 근육을 수축 및 이완하는 것과는 상관없다"고 설명했다. 고양이의 가르릉
소리
가 능동적인 반응이 아닌 수동적인 현상이라는 것이다. 다만 데이비드 라이스 미국 툴레인대 교수는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살아있는 고양이의 성대도 수술로 제거된 성대와 같은 반응을 보일 지는 ... ...
[주말N수학] '일타 강사'가 털어놓은 인생, 수학…그리고 '본질'
수학동아
l
2023.10.01
‘운 핑계는 실패자들의 변명이다’ 같은 인생의 쓴
소리
를 강의에서 하곤 해요. 이런 쓴
소리
가 담긴 영상을 모아놓은 채널도 있어요. A. "성인이 된 뒤에 어른들한테 큰 배신감을 느꼈거든요. 제 수업을 듣는 학생은 일찌감치 현실을 깨닫고 자신의 인생을 준비했으면 했어요. 주변 어른이 대학만 ... ...
피부처럼 늘어나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27
청각적으로 암호화된 이중 방화벽 시스템은 해킹이 어렵도록 만든다. 최 교수는 “
소리
와 빛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며 “웨어러블 스피커, 이중 암호화 소자, 멀티 QR 구현 등 새로운 기능들을 수행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의 적용 가능성도 확인했다”고 ... ...
비발디 ‘사계’ 2050년 버전...AI가 재창작하니 ‘어둡고 혼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9.22
불규칙하며 혼란스러운 분위기의 곡으로 완성됐다. 생물다양성이 감소해 ‘봄’의 새
소리
로 표현된 부분이 대폭 줄어들었다. 기후변화로 길어진 ‘여름’은 원곡보다 길이를 늘여 훨씬 느린 호흡으로 진행된다. 동시에 극심해진 이상기후로 변덕스러워지는 날씨를 강조하기 위해 몰아치는 ... ...
아기 울음
소리
들은 어미 쥐 모성행동은 어디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9.22
일어나는 것을 포착했다. 다만 옥시토신은 즉각적으로 분비되진 않고 새끼 쥐의 울음
소리
를 반복적으로 들은 뒤에야 어미 쥐의 뇌 내에서 증가했다. 새끼 쥐의 고통을 단번에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정보가 축적된 후에 호르몬 활동이 일어난 셈이다. 연구팀은 또 옥시토신이 ... ...
인간 눈처럼 색 구분하는 '인공 망막'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위한 실험 동물의 행동 변화가 인공 망막에 의한 시각 정보 변화 때문인지 냄새나
소리
등 시각 외 감각 정보 때문인지 분별하기가 쉽지 않다. 실험 횟수를 늘리거나 다른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실험 설계가 필요한 이유다. 연구팀은 동물 임상 전에 미리 시각신호의 전달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
소리
' 빨리 배우는 새가 문제해결력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연구팀은 "조류에서의 발성 학습과 인지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했으며, 새들이 내는
소리
는 본능적인 것이 아니라 언어 발달에 중요한 인지 능력과 연결돼 있다"고 설명했다.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