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스터리
비밀
신기
뉴스
"
신비
"(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얼음 밑
신비
의 호수 ‘빙저호(氷底湖)’를 찾아서
2014.12.19
‘쿵. 쿵.’ 15일 남극 장보고기지가 있는 테라노바 만 연안. 쇄빙연구선 아라온이 남극해를 덮고 있는 두꺼운 해빙을 깨고 있다. 얼음 두께만 무려 1m. 아라온이 뱃머리를 들었다 내릴 때 마다 얼음을 따라 둔탁한 굉음이 울려 퍼졌다. 이원상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17일 아라온의 위성전화를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중력 때문에 까맣고 어두워 눈으로 볼 수 없을 것으로 여겨졌던 블랙홀은 영화에서
신비
롭게 빛나는 공처럼 묘사된다. 김상욱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는 “밝은 빛을 내뿜는 블랙홀의 모습은 매우 사실적”이라며 “중력렌즈 효과 때문에 블랙홀 뒤편의 별빛이 모여 마치 블랙홀이 빛나는 것처럼 ... ...
허블이 찍은 굴 성운 NGC 1501, 구름이 감싼 모양 “
신비
로워”
동아닷컴
l
2014.11.13
“허블이 찍은 굴 성운, 세포 같아” “허블이 찍은 굴 성운, 말 그대로 우주의
신비
”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허블이 찍은 굴 성운. 사진= 나사(NASA)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 ...
2014 노벨화학상 수상자 에릭 베치그 교수의 새 작품은?
2014.10.26
안았다. 베치그 교수팀은 해초를 뭉친 것 같은 물질을 찍었다. 형광 빛을 내뿜어
신비
롭게 느껴지는 이 물질은 사실 제브라피시의 배아 뇌 속 신경세포(뉴런)다. 보통 현미경으로 이런 다세포 생물의 복잡한 구조를 촬영하면 이미지가 일그러지기 마련이다. 연구팀은 이번에 격자 ... ...
비틀스의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Across the universe)’는 이런 느낌?
2014.10.07
더 유니버스(Across the universe)’와 어울려 동일한 제목을 붙였다. 초신성이 우주의
신비
를 보여주듯이 생명체 안에서도 사라짐과 탄생이 늘 존재함을 표현했다. 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 제공 ◀외로운 발레리나 (김룡·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장상) 마치 ... ...
바이오디자이너는 뭘 디자인 할까?
2014.09.05
계획이다. ●유전자 설계하는 바이오디자이너 그동안 생명과학은 생명현상의
신비
를 밝히는 학문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알려진 지식을 활용해 인류에게 필요한 물질을 만들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이내 한계에 부딪쳤다. 대표적인 예로 과학자들이 대장균에서 인슐린을 많이 만들기 위해 ... ...
유전자 완전히 같은데 ‘노이즈’ 생기는 이유
2014.09.02
나타나는 현상을 ‘잡음(노이즈)’이라고 부르는데, 국내 연구진이 이러한 잡음 현상의
신비
를 한 꺼풀 벗겨냈다. 이남기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팀은 성재영 중앙대 화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유전자가 완전히 같더라도 ‘RNA중합효소’ 농도가 다르면 결과물이 다를 수 있다고 2일 밝혔다. ... ...
“하루 만이라도 머리 좋아지게 해주세요”
2014.08.29
전기, 초음파 등 뇌를 간단히 자극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며 “이제는 뇌의
신비
를 풀기 위해 어느 부위를 어떻게 자극할지에 대한 연구가 과학자의 몫으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 ...
“당신은 동요하고 있습니까?”
과학동아
l
2014.07.27
세계가 무너진다.’ 이달 초 개봉한 SF 영화 ‘더 시그널’의 캐치프레이즈다. 작정한
신비
주의 마케팅 때문인지 포스터나 예고편만 봐서는 도무지 무슨 내용인지 알기 어렵다. 호기심은 새끼고양이를 죽이는 법. 직접 상영관을 찾아가 확인했다. 주인공인 닉과 그의 절친 조나는 일류대 ... ...
존 벨, 아인슈타인과 보어가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한 물리학자
2014.07.14
빠르게 전달될 수는 없으므로 이런 비국소적 현상은 불가능하다고. 즉 EPR 논거의 핵심은
신비
스럽고 순간적인 원격작용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국소성 가정’이다. 보어는 같은 해 10월 같은 저널에 똑같은 제목의 반박 논문을 게재해 반론을 폈다. 보어는 “입자 A의 측정이 어떤 식으로든지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