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너지
에네르기
밀도
뉴스
"
에너지밀도
"(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리튬 배터리 대안 마그네슘 배터리 만들 새로운 전해질
동아사이언스
l
2021.10.10
아민 기반 킬레이트를 배터리 전해질로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마그네슘 이온 배터리의
에너지밀도
를 kg당 412Wh의 높은 수준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8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마그네슘이 속한 2족 원소는 주기율표의 두 번째 줄에 있는 화학 원소들을 뜻한다. 전자 2개를 잃고 양이온이 되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음극재 없는 리튬전지용 음극 집전체 구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8
개발하고 작동원리를 찾아냈다고 7일 밝혔다. 음극재가 없는 리튬전지는 기존 전지보다
에너지밀도
를 60% 높일 수 있으나 리튬이 금속 형태로 음극에 저장되면 리튬이 계속해 손실돼 충방전효율이 떨어진다. 김 교수팀은 3차원 음극 집전체 표면의 전자를 빼내는데 드는 에너지를 높여 리튬 손실을 ... ...
'무작위성·무질서'에 담긴 규칙에서 기후위기 해결의 실마리를 찾다...노벨위원회 설명자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5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202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마나베 슈쿠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클라우스 하셀만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 조르조 파리시 이탈리아 사피엔자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마나베 교수와 하셀만 연구원은 지구의 기후 ... ...
[사이언스N사피엔스]빛나는 흑체, 20세기를 열다
2021.09.3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물체는 열을 받으면 빛을 낸다. 뜨겁게 달군 쇠는 붉은 빛을 낸다. 태양도 그렇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일반적으로 전자기파를 방출한다. 사람 몸에서도 열이 나기 때문에 전자기파를 낸다. 다만 그 전자기파의 파장이 길기 때문에 가시광선처럼 눈에 보이지는 않는다. 몸 ... ...
열을 전기로 바꾸는, 손톱보다 작은 발전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1센트 동전 위에 올려진 초소형 열전 발전기의 모습.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열을 전기로 바꾸는 열전 발전기를 손톱보다도 작게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손재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채한기 교수 공동연구팀은 열전소재를 3차원(3D) 프린팅용 잉크로 개발해 열전 발전기 ... ...
[과기원은 지금] 김형진 GIST 교수팀, 기존대비 고성능 실리콘음극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6
왼쪽부터 연구에 참여한 서석호 박사과정생, 김형진 교수, 윤호철 석사과정생. GIST 제공 ■김형진 광주과학기술원(GIST)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팀은 25일 기존 리튬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대비 대비 뛰어난 전기화학적 성능과 내구성을 갖춘 실리콘 음극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실리콘 음극재는 ... ...
레이저 핵융합 기술 “핵융합 발전 문턱 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가 레이저 핵융합 실험에서 핵융합으로 1.3MJ(메가줄)의 에너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사진은 연구소가 이 소식을 전하며 공개한 이미지다.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 제공 미국 연구진이 레이저를 이용한 핵융합 실험에서 1.3MJ(메가줄)의 에너지를 얻는 데 성공했 ... ...
진정한 수소경제 실현하려면…생산·저장·운송 ‘삼박자’ 맞아 떨어져야
과학동아
l
2021.08.14
현대자동차가 2020년 양산한 대형 수소전기트럭 ‘엑시언트’는 8~20분간 수소를 충전해 최대 약 400km를 주행한다. 차량 총중량은 34t(톤) 급이다. 현대자동차 제공 오늘날 수소는 ‘친환경 연료’란 이름값을 하지 못한다는 비난에 직면해 있다. 수소에너지를 사용할 땐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지만, ... ...
물에서 수소 얻는 ‘수전해’ 효율·내구성 잡은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8
이번 연구를 수행한 오남근 UNSIT 연구원(왼쪽)과 서지형 연구원. UNIST 제공. 전기에너지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수전해 기술은 탄소 배출 없이 청정 원료인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값싸고 오래 가는 촉매 물질 개발이 상용화 관건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박혜성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 ...
곤충 모방 비행로봇 발명한 박훈철 건국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박훈철 건국대 스마트운행체공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으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풍뎅이를 모방해 장애물과 충돌해도 추락하지 않는 날갯짓 비행로봇을 개발한 박훈철 건국대 스마트운행체공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으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의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