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공학"(으)로 총 1,3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 때문이야'…비알코올성 지방간 새 치료 타깃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3.07.25
- GIST 의생명공학과 연구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할 방법을 알아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단백질을 억제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오창명 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 ...
- 대한민국학술원, 국내 석학 7명 신임회원 증서 수여식 개최어린이과학동아 l2023.07.21
- 7월 21일 대한민국학술원 대회의실에서 2023 대한민국학술원 신임회원 회원증서 수여식이 열렸다. (왼쪽부터) 고동환, 신동운, 한인구, 우경식, 송진원, 한재용, 김용균 교수. 대한민국학술원(이하 학술원)은 우경식 강원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7명의 석학을 2023년도 신임회원으로 선출하고, 7월 21일 학 ... ...
- [과기원NOW] 노준석 포스텍 교수, 스프링거 네이처 발간 ‘npj 나노포토닉스’ 부편집장 선임 外동아사이언스 l2023.07.18
- 노준석 포스텍 기계공학과·화학과 교수.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교수가 나노 광학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npj 나노포토닉스' 부편집장에 선임됐다고 18일 밝혔다. 노 교수는 서울대에서 기계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캠퍼스에서 ... ...
- 코로나19 변이에 대한 '폐 면역반응'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2023.07.12
- (왼쪽부터) 홍정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오태환 박사후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변이주가 지속적으로 등장했지만, 폐에서 어떠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지 직접 확인한 연구는 없었다. 국내 연구진이 폐 미세구조 면역반응을 직접 ... ...
- AI 활용 항암치료 기술 개발…'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최정균동아사이언스 l2023.07.12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한 KAIST 최정균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 KAIST 제공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암 백신과 세포 치료 등 차세대 면역 항암치료의 타겟을 발굴하고 실용화를 도모했다는 평가를 받은 최정균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7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 ...
- [의학바이오게시판] 9900원만 내면 받을 수 있는 유전자 검사 서비스 外동아사이언스 l2023.06.28
- 마크로젠 제공 ■ 직장인 평균 점심값으로 유전자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나왔다.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은 유전자 검사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젠톡(Gen Tok)’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피부·모발 13종, 운동 8종, 영양소 20종, 식습관 5종, 개인특성 12종, 건강관리 15종 등 73가지 유전자 검 ... ...
- 로레알-유네스코 여성 과학자상에 박현성 서울시립대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3.06.28
- (왼쪽부터) 한경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 사무엘 뒤 리테일 로레알코리아 대표, 박현성 서울시립대 교수, 이주영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 회장. 로레알코리아 제공 로레알코리아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후원하고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이 주관하는 ‘제22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 ... ...
- 면역항암치료 부작용, AI로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23.06.22
- 면역 관련 부작용 연구에 대한 전반적 개요도.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면역항암치료로 유발되는 부작용의 위험요인을 밝히고 부작용 발생을 미리 알 수 있는 인공지능(AI) 딥러닝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KAIST는 최정균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와 박숙련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 ...
- 혈액검사·AI 예측…퇴행성 뇌질환 진단 패러다임 바뀐다동아사이언스 l2023.06.16
- 홍콩과학기술대 신경과학연구소 연구원이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하기 위해 채혈된 혈액을 분석용 용기에 주입하고 있다. 홍콩=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에 대한 간편하고 신속한 예측‧진단법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퇴행성 뇌 질환은 시간이 오 ... ...
- 인류 vs 모기, 최후의 승자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06.10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 피를 빨아먹고 각종 질병을 옮기는 대표적인 해충, 모기. 모기가 지구에서 사라질 수는 없는 걸까. 과학자들은 인류를 지키기 위해 오랫동안 모기와 팽팽한 싸움을 벌이고 있다. 그런데 모기가 사라지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 불임 모기로 퇴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