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뉴스
"
조상
"(으)로 총 58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
2019.12.14
짝 선택 과정 중에는 비선호 자질일 것이다. 나이가 많다는 신호다. 하지만 과거의 우리
조상
은 대부분 탈모가 일어나기 전에 짝을 찾았을 것이다. 그러니 탈모 여부는 짝 선호도에 그리 영향을 주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 탈모가 시작되면 이미 몇 명의 아이를 낳은 아버지였을 것이다. 만약 탈모가 ... ...
64개국 아시아인 게놈 베일 벗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 와파린의 경우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몽골인과 같은 북아시아
조상
을 가진 사람들이 예민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됐다. 마크로젠은 2016년 10월 세계 최고 정밀도의 아시아인 표준 유전체를 완성해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2016년 연구가 한 사람의 유전체를 ... ...
한일 과학홍보 담당자와 청년과학자가 바라본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한계와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07
사례처럼 이슈와 연구 접점이 됐을 때만 과학이 부각이 되더라”며 “예를 들면 인류
조상
의 기원이 기후변화로 이동하기 시작했다는 게 뉴욕타임즈를 비롯한 외국에서는 큰 관심을 받았는데 한국에서는 많이 다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과학 보도자료의 통계도 공개했다. 심 본부장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시아 최대 유전체 DB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7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팀은 한국인과 중국인, 일본인, 몽골인 등 북아시아
조상
을 가진 사람들이 와파린에 대해 예민하게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마크로젠 연구팀은 이미 2016년 세계 최고 정밀도의 아시아인 표준 유전체를 완성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그때와 ... ...
인간의 척추는 왜 이런 모양?
과학동아
l
2019.12.06
척추 구조가 파충류보다 복잡하게 진화한 이유를 밝혀냈다. 포유류와 파충류의 공통
조상
인 단궁류의 화석을 연구하던 연구팀은 파충류에서 포유류로 척추가 변화한 흔적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를 분석해 진화 모델을 적용했다. 이중 현재 진화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모델에 따르면 포유류의 척추 ... ...
아시아 64개국·219개 민족 유전체 베일 벗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일으킬 수 있다. 와파린의 경우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몽골인과 같은 북아시아
조상
을 가진 사람들이 예민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됐다. 마크로젠은 지난 2016년 10월 세계 최고 정밀도의 아시아인 표준 유전체를 완성해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2016년 연구가 한 사람의 유전체를 ... ...
인간 면역계는 지금도 진화中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면역계와 관련된 유전질환 중 어떤 것에 강하고 어떤 것에 취약한지 조사했다. 그 결과
조상
대대로 어느 지역에 살아왔고 어떤 생활방식을 가졌는지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먼저 인류 전체를 대상으로 봤을 때는 진화 과정에서 얻은 면역력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염증으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유로화가 통용되기 전 리라화를 쓸 때는 리라화의 가치가 원화보다 낮기도 했었다. “
조상
잘 만난 덕에 관광으로 먹고 산다.”는 조롱도 심심찮게 들을 수 있었다. 그런 우리나라에서는 어느 재벌 총수가 유명 사립대학을 방문하려하자 이를 반대하며 저지하고 나선 학생들을 대학이 무더기로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중성미자를 연구하는 김영덕 지하실험연구단장과 같은 본원 단장은 물론, 인류
조상
의 이동과 기후변화의 인과관계를 연구하는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연구단장 등 외국인 단장들은 과학의 발전이라는 꿈을 펼치기 위해서 안정된 직장을 버리고 IBS에 합류하였습니다. 또 교수와 단장을 겸직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쇠똥구리 가슴뿔과 날개는 기원이 같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커다란 뿔을 갖고 있기도 하다. 연구를 통해 학계에서는 오래 전 쇠똥구리의
조상
은 가슴뿔이 없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쇠똥구리가 진화하면서 가슴에 커다란 뿔을 갖게 된 셈이다. 하지만 이전까지는 어떻게 이 가슴뿔이 생기게 됐는지 알 수 없었다. 미국 인디애나대 생물학과 아르민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