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파
발견
발각
탄로
적발
뉴스
"
탐지
"(으)로 총 841건 검색되었습니다.
1분만에 지진 규모 파악..."중력파에 물어봐"
동아사이언스
l
2022.05.16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존재를 예언한지 100년만에 처음으로 중력파를
탐지
했다고 밝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연구팀은 일본 동쪽 환태평양조산대 등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한 1400곳을 뽑은 다음 이중 한 곳에서 대형 지진이 발생하는 예상 시나리오 35만건과 이때 발생하는 ... ...
베트남전에도,우크라 전쟁에도 참전했다…전쟁에 투입되는 해양동물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5.09
수병으로 가장 인기를 끄는 이유는 음파
탐지
장치인 소나보다 훨씬 정교한 수중 음파
탐지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돌고래는 음파를 쏘아 물체에 맞고 반사되는 반향을 듣고 멀리 있는 물체를 정밀하게 감지해낸다. 축구장 두 개 너비에 가까운 200m 밖에서도 테니스공 크기 물체의 존재를 ... ...
AI 산업제어시스템 보안능력 키우는 학습 데이터셋 공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7
데이터셋과 성능평가 도구는 산업 제어시스템 데이터 부족과 제어시스템 보안위협
탐지
성능평가에 어려움이 있는 연구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데이터셋과 성능평가 도구를 개선하고 활용하는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데이터셋과 성능평가 도구는 ... ...
규모 4.0~5.0 지진 통보시간 5~10초로 줄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7
5.0 이상의 지진 발생 시 5~10초 수준으로 통보하는 서비스다. 속도가 빠른 지진파(P파)를
탐지
해서, 느리지만 큰 피해를 일으키는 지진파(S파)가 도달하기 전에 지진발생 상황을 신속하게 자동으로 분석해 알린다. 다만 지진의 규모가 작을수록 분석 소요시간이 증가한다. 신호가 약하고 불확실성이 ... ...
은하 중심부로 지구좌표 담긴 메시지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9
배열된 군집형 전파망원경으로, 외계생명체가 발신했을 가능성이 있는 무선 주파수를
탐지
하고 있다. 중국 구면전파망원경은 세계에서 가장 큰 구경의 전파망원경으로 2016년에 완공됐다. 우주로 메시지를 보내려는 시도는 처음이 아니다. 미국 지적 외계생명체 연구소(SETI)는 지난 1974년 미국 ... ...
[산업게시판]실내에서도 발전 가능한 태양광 패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9
프로토콜(IP) 서비스와 미디어 서비스 분야의 공개된 데이터를 활용해 네트워크 이상
탐지
를 위한 AI 모델의 정확도와 재현성을 다룬다. 온라인인 경연을 통해 최종 선정된 상위 6개 팀은 오는 6월 예정된 본선에서 오프라인 발표와 심사를 거쳐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시상식은 총 1000만 원 규모의 ... ...
北장사정포 막을 '한국형 아이언돔' 2029년으로 개발 앞당겨
연합뉴스
l
2022.04.11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현재 탐색개발 착수 이후 장사정포 수백 발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지
하는 모듈형 레이더와 유도탄 등 관련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월에는 ADD 안흥종합시험장에서 LAMD 첫 시험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청와대와 군이 공개하기도 했다. 한편, ... ...
[프리미엄 리포트] 암흑물질을 찾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2.04.09
탐지
기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우수한 광학적 성능을 가진 물질은 이
탐지
기의 필수요소”라며 “남극의 순수한 얼음이 여기에 적합했다”고 설명했다. 1㎦ 크기의 순수한 얼음을 구하기 가장 쉬운 곳이 바로 남극이라는 것이다. 단순하면서도 명쾌한 해법이다. 이후 관측소를 ... ...
국내 연구진,PCR 안하고 색 변화로 바이러스 감염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07
판별할 수 있다. 기존에 바이러스를 신속하게 검사하는 장비는 PCR이나 바이러스를
탐지
할 표지를 부착하는 과정을 생략했다. 대신 바이러스가 부착됐을 때 나타나는 전기화학적 신호의 변화를 바이러스 여부를 파악한다. 하지만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복잡한 전극 구조와 별도의 분석 장비가 ... ...
국내 연구진, 성범죄 악용 마약 '물뽕'
탐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권오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선임연구원(왼쪽)과 김우근 안전성평가연구소 예측독성연구본부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속칭 '물뽕'으로 불리는 마약류인 감마하이드록시낙산(GHB)을 감지하는 겔을 개발했다. GHB에 반응해 노란색에서 붉은 색으로 변해 눈으로 쉽게 확인가능하다. 한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