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658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일 베이기 쉬운 종이 두께의 물리적 비밀
과학동아
l
2024.09.07
아프다. 어떤 종이가 손가락에 상처를 잘 내는 걸까. 카레 옌센 덴마크공대 물리
학과
교수팀이 다양한 두께의 종이 중 가장 절단력이 강한 종이를 찾아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E' 7월 19일자에 사전 출판했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가장 베이기 쉬운 종이 두께가 65µm(마이크로미터, 1µm는 100만 ... ...
서울 첫 '말라리아 경보…원인은 기후변화·북한 영향?
과학동아
l
2024.09.07
발생하면서 세계적으로 강우량 패턴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재우 인하대 물리
학과
교수는 이런 강우량 패턴 변화가 말라리아 확산세와 연관돼 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2022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98-022-18782-9) 연구팀은 1901년부터 2015년 사이 ... ...
[동물do감] 고양이도 개만큼 '물어와' 놀이 즐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6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켈 델라도 미국 퍼듀대 수의
학과
교수 연구팀은 반려묘 10마리 중 4마리는 주인과 함께 물어오기 놀이를 즐긴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에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물어오기 놀이는 현대 사회에서 가축화된 동물들이 과거 ... ...
9월 과학기술인상에 이성중 교수…신경교세포 관점에서 사회성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9.04
선정됐다. 과기정통부 제공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이성중 서울대 치의과
학과
교수가 선정됐다. 뇌를 구성하는 '신경교세포'에 의한 정서 및 사회성 행동 조절의 기전을 규명함으로써 뇌과학 연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 ...
KAIST 교수협, 총장 추천 후보에 배충식·김정호·류석영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센터장, 대통령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류 교수는 KAIST 전산
학과
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는 전산학부 학부장이며 대통령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위원, 카카오임팩트 이사장이다. ... ...
KIST, 석학 영입으로 수소 연구 박차 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책임연구원을 임명하고 청정수소융합연구소 석학급 연구자로 이관영 전 고려대 화공생명
학과
교수를 영입했다고 2일 발표했다. 남 소장은 연료전지 및 화학적 수소저장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해온 연구자다. 그간 KIST에서 고온 연료전지 기술 수준 향상 및 화합물 수소 저장·추출 ... ...
한국인 첫 리켄 수석과학자 김유수 교수, IBS 신임 단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에서 교수로 근무했다. 2021년에는 리켄 뇌과학센터 팀리더로 부임했다. 라우 단장은 심리
학과
신경과학을 아우르는 연구로 주목받았다. 1만7000회가 넘는 피인용 수, 64의 h-인덱스 등을 기록했다. h-인덱스는 학계 인지도와 연구 영향력을 나타낸다. n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n개 있으면 h-인덱스는 n이다. ... ...
우리 몸에 자리잡는 식품미생물...질병에 영향 미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니콜라 세가타 이탈리아 트렌토대 세포·계산 및 통합생물
학과
교수가 이끈 국제공동 연구진은 식품에 있는 미생물 유전체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사해 식품 미생물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연구 결과를 지난달 29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공개했다. 다양한 음식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세포 속 '미세핵' 붕괴 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1
및 혈액종양
학과
교수팀과 사무엘 바쿰 미국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 방사선 종양
학과
교수팀이 암세포에서 미세핵이 붕괴하는 데 기여하는 메커니즘을 각각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30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산타기다 교수팀은 세포 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위 그림에서 금색)에서 ... ...
[IGC2024] 동해 심해 유정 '홍게', 석유시스템 핵심조건 시추로 최초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조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토론자로 나선 류인창 경북대 지질
학과
교수는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성패 여부는 공극률과 같은 저류암의 퀄리티(질)에 달려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개리 파커 미국 일리노이대 어배너-샴페인캠퍼스 교수 또한 "이때까지 실패한 석유 가스 시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