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순
유일
단독
통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스페셜
"
단일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 뇌종양 탐지세포·
단일
원자층 반도체·추론하는 AI 등에 330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통해 새로운 뇌종양 치료제 발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단일
원자층 반도체를 이용한 광포힉 및 강한 상호작용 연구, 폴리효소복합체 해독연구, 생명 시스템의 시계열 빅데이터로부터 다이내믹 네트워크 추정 등이 기초과학분야 지원대상 연구로 꼽혔다. 소재기술 ... ...
Wnt·자가면역질환·광유전학·HGP 등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누가 받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석좌교수와 같은 기관 필리파 매랙 석좌교수는 면역계에서 생성된 특정
단일
클론 항체(KJ23a)가 면역세포인 T세포 표면에 나 있는 수용체(Vb17a)에 들러붙어 반응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쥐 실험을 통해 흉선에서 미성숙한 T세포가 성숙할 때 자기 세포나 조직 등에는 반응하지 않도록 이 ... ...
[2019노벨상]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생물학·의학 분야 유력 후보10人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장기에 대해 항체를 생산하는 알레르기 질환이다. 두 사람은 면역계에서 생성된 특정
단일
클론 항체(KJ23a)가 면역세포인 T세포 표면에 나 있는 수용체(Vb17a)에 들러붙어 반응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그들은 쥐 실험을 통해 흉선에서 미성숙한 T세포가 성숙할 때 자기 세포나 조직 등에는 반응하지 ... ...
[표지로읽는과학] 인간 건강증진 가져올 '유전자형-표현형'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9
연구팀은 마지막 네번째 리뷰에서 유전자형과 표현형 간의 연결성을 찾는데 있어
단일
세포 유전체가 어떻게 인간 장기나 오가노이드와 함께 쓰이는지에 설명했다. 사이언스는 관련 리뷰들이 표현형이 어떤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알아내 궁극적으로 인간 건강 증진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탄소원자 18개로 만든 분자반지 '사이클로카본'
동아사이언스
l
2019.09.22
없애고 탄소원자 18개로만 이뤄진 고리 분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탄소와 탄소 간에는
단일
결합과 삼중결합이 교대로 나타났다. 사이클로카본은 자연상에 존재하는 흑연이나 다이아몬드에 비해 안정성은 떨어진다. 하지만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높고, 사이클로카본 분자들끼리 공유결합이 ... ...
KAIST, 日수출규제 맞설 소재·부품 기술 보따리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높고 국내 업체들의 개발 단계가 낮아 국산화가 싶지 않은 품목이다. 김 교수는 “
단일
물질로 종래의 혼합 물질에 비해 균일한 포토레지스터막을 형성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라며 "기술은 고밀도 반도체 제조에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상율 KAIST 화학과 교수는 ‘저열팽창 불소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토록 황홀한 블랙을 본 적이 있는가
2019.09.17
육각형 그물망 구조인 그래핀이 말려 죽부인 형태를 띤 분자로 탄소원자들 사이에
단일
결합과 이중결합이 교대로 있다. 이를 켤레이중결합(conjugated double bond)라고 부르고 여기에 참여하는 전자를 파이전자라고 부른다. 파이전자는 분자 전체에 퍼져 있으면서 가시광선 영역을 포함한 넓은 범위의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원인을 모른다. 유전적인 요인이 있는 것 같지만, 환경적인 요인도 있는 것 같다. 하지만
단일
한 유전자는 찾지 못하고 있다. 면역 반응이 관여하는 것 같지만 확실하게 그 기전이 밝혀진 것은 아니다. 현대 의학의 발전이 눈부시다지만 사실 어떤 면에서는 몹시 부끄러운 수준이다. 그런데 ... ...
낙동강의 ‘소금쟁이’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윤상린 건설연 통합물관리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은 “지금까지 녹조를 제거하는
단일
기술이 실증된 적은 많았지만 여러 기술을 연계하는 실증 연구는 없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우선 물을 순환시켜 녹조의 발생을 미리 막는 수류확산장치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건설연과 KIST가 손잡고 개발한 ... ...
'조국 딸'논문 "
단일
염기다형성과 뇌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갖고 있는 점돌연변이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개인마다 유전적 다양성이 생긴다. 이것을
단일
염기 다형성(SNP)이라고 부른다. 이 때문에 염기가 바뀌어도 유전자 발현 과정에서 원래 만들어져야 할 것과 같은 단백질이 생길 수도 있지만, 전혀 다른 단백질을 만들거나 만들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