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스페셜
"
발전
"(으)로 총 2,2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DGIST 연구팀, 혈액 속 암세포 자동 분리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주요 산업의 최초 육성방안을 기획해 이들 산업 탄생의 밑그림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산업
발전
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프라운호퍼와 한국 기술자의 몰락
2022.06.16
작업을 도와주는 전문가들도 있다. 그들의 ‘손으로 하는 공부’는 한국 과학기술의
발전
을 보이지 않게 뒷받침했다.” 우리나라의 연구개발인력 추이.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제공 그가 찾아간 대전 유성구 궁동의 ‘동명이화학’이라는 공방은 김종득과 김진웅이라는 과학 실험용 초자 가공 ... ...
안개와 이슬에서 전기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실외 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김 교수는 “강수 환경에서
발전
기의 에너지 수확 능력을 검증했을 뿐 아니라 빗방울 산성도 경보 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안개나 이슬처럼 주변에서 쉽게 보이는 환경에 맞게 설계하면 환경 모니터링이 가능한 센서 ... ...
누리호 두 번째 도전, 맨 앞자리엔 '이들'의 꿈도 함께 실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받았다. 오현웅 교수는 “큐브위성은 이제는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단계까지
발전
했다”며 “국내 산업체의 부족한 경험을 많은 경험을 쌓은 대학과 연계하면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로 향하는 큐브위성의 수도 가파르게 늘고 있다. 유럽 위성분석기관 나노샛츠에 따르면 올해 ... ...
[과학게시판]과기정통부, 2027년까지 디지털 인재 9만명 육성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World 2022 : Tech & Future’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에는 국내외 최신 AI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14개 세션의 글로벌 컨퍼런스가 진행됐따. 또 정부의 AI 연구개발 주요 성과물을 전시·시연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패권’ 대신 ‘진실과 자유’를 지향하는 과학기술
2022.06.08
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흔히 과학과 기술이 노벨상이 주어지는 ‘과학지식’과 경제
발전
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과학적 기술’로 구성되어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17세기에 서양에서 시작된 근대 과학혁명의 핵심은 비판적 합리성을 강조하는 ‘과학정신’이다. 전통적으로 과학지식과 과학적 ... ...
[과학게시판] 과기연구회, 출연연 사업화 유망기술 공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6.08
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다. 최신 군사과학 관련 기술과 연구결과를 소개,
발전
방향을 제시하며 국방력 강화에 기여하는 게 목적이다. 3층 로비에서는 50여개 방산업체의 첨단 장비와 부품이 전시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을 위해 2014년 설립된 ... ...
北 코로나 장기전 대비하나…내각 주도 보건 인프라 구축 나서
연합뉴스
l
2022.06.07
근시안적이고 임시적인 관점과 태도를 철저히 일소하고 장기적인 안목과
발전
적 견지에서 방역토대의 정비·보강을 강력히 추진하기 위한 계획이 실행되고 있다"며 내각과 보건성에서 물질 기술적 준비사업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코로나 확진자 수습 과정에서 낙후한 보건 인프라 ... ...
'공간정보 특성화대학'에 경희대·인하대 등 8곳 신규 지정
연합뉴스
l
2022.06.06
진행하고 신청서를 제출한 16개 대학교에 대해 외부 평가위원의 심사와 지역균형
발전
등을 고려한 권역별 최고 평가순위 대학 우선 선정방식으로 8곳을 최종 선정했다. 수도권에서는 경희대와 서울시립대, 안양대, 인하대 등 4곳이, 충청권에서는 남서울대와 청주대 등 2곳이 각각 선정됐으며 ... ...
UFO 존재는 확인했다는데…과학자들이 외계인 가능성 낮다고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6.03
어디에 있는가’라고 물었던 ‘페르미의 역설’로 알려진 질문이다. 웡과 바틀릿은
발전
된 문명이 균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성장을 거부하고 우주를 가로질러 확장하려는 문명의 능력을 희생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도시의 ‘초선형’ 성장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며 이같은 가설을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