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스페셜
"
조절
"(으)로 총 89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경이로운 기하학적 형태를 띠는 꽃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11
연구팀은 콜리플라워가 꽃잎을 만들어낼 때 다수의 미발달한 꽃잎이 어떤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를 활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과 조사를 수반한 모델링을 결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제기능을 하지 않는 식물 분열 조직으로 인해 마디와 마디 사이가 느리게 성장하는 현상과 개화 관련 ... ...
[랩큐멘터리]난치병 원인 '단백질 수명' 결정하는 신호를 탐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사실을알아냈다. 이듬해인 2015년에는 포유류 세포에서의 N-말단 아세틸화에 의한 혈압
조절
단백질 분해과정을 최초로 확인하는 등 연이은 성과를 냈다. 김상윤 포스텍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생 2018년에는 기존의 분자생물학 학설을 뒤짚는 연구도 내놨다. 진핵생물의 세포질에서도 박테리아처럼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담은 논문이 실렸다. 미국의 생명공학회사 제넨테크의 연구자들은 몸의 대사 항상성을
조절
하는 호르몬인 FGF21의 기능을 모방하는 항체를 만들었다. FGF21은 지방세포와 췌장세포, 신경세포의 표면에 있는 수용체인 FGFR1/KLB에 달라붙어 에너지를 소모하고 식욕을 떨어뜨리는 신호를 내보내게 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력 거스르는 식물의 모세관 현상을 모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점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진은 3D 프린팅을 이용한 덕분에 미세관의 굵기를 쉽게
조절
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수십~수백 개를 인쇄하는 데 시간도 절약했다. 실제로 연구진은 논문에서 이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아침에 연구실에 출근해 컴퓨터로 구조를 설계한 뒤 3D 프린터로 그날 저녁 격자를 ... ...
한화,100% 수입하던 정지궤도위성 추력기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나타내는 비추력이 낮다. 반면 이원추진제 추력기는 추력과 비추력 모두 높고 연료량을
조절
할 수 있어 효율성과 장기 저장성 면에서도 유리하다. 한화와 항우연은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10뉴턴(N)급 추력을 갖춘 이원추진제 추력기를 국산화한다. 한화는 국내 위성개발에 참여하며 25년간 ... ...
[표지로 읽는 과학] 철새 몸속 ‘살아있는 나침반’
동아사이언스
l
2021.06.26
빛에서 청색 빛을 흡수하고 그 신호를 뇌로 보내 일주기성과 낮과 밤을 알리는 빛 주기를
조절
한다. 연구진은 유럽 울새 망막의 크립토크롬이 빛에 의존하는 나침반 역할을 하기 위한 일정 수준의 자기장 민감도를 요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실험실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크립토크롬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피부에 흉터 남기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
2021.06.22
보기에만 안 좋은 수준이지만 전신 화상 등으로 피부의 넓은 면적에 흉터가 생기면 체온
조절
등 여러 생리 기능이 떨어진다. 놀랍게도 임신 24주까지 태아는 진피가 손상되는 상처를 입어도 흉터를 남기지 않고 회복될 수 있다. 임신 24주 이후 이런 재생 능력을 잃게 되는 것이다. 다른 포유류도 ... ...
소리로 병 진단하고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공개했다. 말하기는 혀와 턱, 입술, 후두를 세밀하게 조정하는 복잡한 활동이다. 신경
조절
에 이상이 있거나 기관 중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즉각 말투나 목소리가 달라진다. 사고가 느려지면서 빠른 판단과 행동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우울할수록 말하는 속도도 느려지고 대화 과정에서도 ... ...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 속도 늦출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치매 발병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플렉신-A4를
조절
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약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프로그레스 인 뉴로바이올로지’ 5월 1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스마트폰 많이 보면 뚱뚱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최대한 피하고, 2∼4세는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를 보는 시간을 하루 1시간 이내로
조절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오 교수는 “스마트폰 중독이 아니라 일반적인 수준의 스마트폰 사용 범주에서 스마트폰과 건강의 관계를 조사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일상생활에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습관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