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08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담고 있다.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곳
도 여기다. 저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입자가 커 물이 잘 통하며 미생물이 잘 정착하는 모래를 깐다. 그 위에는 ‘소일’이라 부르는 저면 소재를 까는데, 소일은 보통 키우려고 하는 수초가 사는 현지의 천연 ... ...
[쇼핑몰]잘 빠진 팽이의 공중부양 쇼! 레비트론
과학동아
l
201008
자기력 때문이다.팽이와 받침대는 자석의 같은 극이라 서로 밀쳐낸다. 팽이가 떠 있는
곳
은 팽이를 뜨게 하는 자기력과 팽이를 떨어뜨리는 중력이 절묘하게 균형을 이루는 지점이다. 팽이가 돌 때 생기는 원심력이 균형을 잡아준다.팽이를 능숙하게 돌리려면 몇 시간 정도 연습해야 한다. 팽이가 ... ...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08
있는 ‘집적시스템 설계 연구실’에 대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반도체를 설계하고 있는
곳
”이라고 소개했다. 한마디로 반도체 위에 수많은 트랜지스터를 배열해 초고속 회로를 만드는 ‘반도체 디자인’을 한다. 정 교수는 1990년대 중반 PC에서 영상 정보를 고속으로 주고받는 반도체인 ‘고속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08
날아가 5cm정도 쌓여 있다면 백두산 주변에는 이탈리아 폼페이처럼 화산재에 매몰된
곳
도 있지 않을까. 폼페이는 베수비오 화산의 산사면 가장자리에 위치한 도시로, 79년 8월 대폭발이 일어났을 때 2~3m나 화산재로 뒤덮였다. 다행히 백두산 주변은 산지가 높아 인구밀도가 낮다. 폭발적인 분화가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08
가진 다른 물질과 비교했을 때 밀도가 꽤 높다. 반면 수증기 상태의 물은 하늘 높은
곳
까지 잘 떠다닐 정도로 가볍다. 기압 상태에서 끓는점인 100℃에서 물이 수증기로 변할 때 부피는 무려 1604배로 늘어난다. 물의 부피가 이렇게 크게 늘어나는 덕분에 물을 끓여 수증기로 발전하는 증기기관이 ... ...
타이탄의 호수 얕아졌다
과학동아
l
201008
관련이 있다. 호수의 경계는 경사가 완만한
곳
에서 많이 후퇴하는 반면 경사가 급한
곳
에서는 적게 후퇴한다.연구팀은 지난 4년 동안 호수 경계가 지역별로 후퇴한 거리를 이용해 수면이 낮아진 정도를 계산했다. 그러나 아직 타이탄의 북반구에 있는 다른 호수에서는 수면의 변화가 관측되지 않았다 ... ...
열등감과 죄책감이 세뇌의 희생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08
열등감과 죄책감도 드러내고 나면 더 이상 열등감이나 죄책감이 되지 않는다. ‘어두운
곳
에 손을 내밀어 밝혀 주리라’는 노랫말은 내 마음에도 필요하다 ... ...
가로 세로 5mm 속에 펼쳐진 꿈
과학동아
l
201008
산업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실리콘밸리에서 일한 경험은 큰 도움이 됐다. 언젠가 그
곳
에서 다시 세계적인 연구원들과 당당하게 경쟁하겠다는 꿈을 키웠다. 그리고 지금 그 꿈을 실현했다. 연구실을 졸업한 뒤 실리콘밸리에 자리를 잡고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집적시스템 설계연구소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
수학동아
l
201008
돌계단을 올라 자하문을 지나면 불국사의 중심인 대웅전이 나타나. 석가여래상을 모신
곳
이라 잘 복원돼 있지. 대웅전 마당에는 유명한 불국사삼층석탑(석가탑)과 다보탑이 나란히서 있어. 석가여래가 말씀하실 때, 땅에서 탑 모양으로 다보여래가 솟아올라 석가여래의 말씀이 옳다고 증명했다는 ... ...
발자국이 쿵쿵~, 공룡이 깨어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7
발자국만 보고도 내가 육식 공룡인 수각류라는 사실을 알아챘다. 뿐만 아니라 이
곳
에 나 말고도 최소 두 마리 이상의 용각류 초식 공룡이 있었다는 사실도 알아 냈다. 사람들은 이 발자국이 용각류 가족이 물가로 걸어가다 찍힌 거라고 추측했다. 근데…, 내가 용각류랑 도대체 뭘 하고 있었지? 잡아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