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d라이브러리
"
개념
"(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통 믿을 수 없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무한에서 10여개 유한차원으로‘카오스’라는
개념
이 등장한 이후, 각 분야의 과학자들은 ‘혹시 그 동안 불규칙적이고 복잡하기만 한 소음이라고 여겼던 신호들이 사실은 간단한 비선형 방정식에 의해 기술되는 카오스 시스템이 아닌지’를 알아보는 ... ...
스노우의 두 문화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문학 서적조차 읽지 않는 과학 문화에 속한 사람들이나 혹은 가장 초보적인 과학
개념
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인문학 문화에 속한 사람들 모두는 영국 교육의 불가피한 산물이라고 판단했다. 지나친 전문화로 소수의 순수과학자만을 양성한 영국교육의 문제점을 간파한 스노우. 그는 대안으로 미국과 ... ...
컴퓨터 속의 통역사 자동번역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최근 엘엔아이소프트에서는 번역기의 뼈대는 문법변환방식을 적용하면서도 새로운
개념
을 도입해 기존 번역기의 한계에 도전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핵심은 문장 내에 쓰일 수 있는 단어 각각을 프로그램화 해서 이들이 서로의 관계 속에서 뜻을 만들고 가장 근사한 번역문을 생성해내도록 ... ...
유전자가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다루고 있다.크게 3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1장에서 생명공학을 이해하는 출발점인 DNA의
개념
으로부터 시작해 인간게놈프로젝트의 내용과 의미, 그리고 인간에게 미칠 부정적 영향까지 소개했다. 2장에서는 복제의 유용성과 문제점을 동물복제, 인간배아복제, 그리고 인간복제로 구분해 다뤘다. ... ...
미래의 화폐 사이버 머니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전자화폐도 그 종류가 엄청나게 다양하다. 원래 인터넷 전자화폐는 전자상품권이라는
개념
에서 출발했다.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인터넷 사이트들이 나름대로 전자상품권을 개발한 것은 소액 결제라는 절대적인 필요성 때문이다.소액결제를 위한 전자상품권아직까지 ... ...
디지털 가정으로의 초대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시간을 소모한다. 당연히 사람을 지치게 해 일의 능률을 떨어뜨린다. 또한 현대의 출퇴근
개념
은 아침잠이 많건 저녁잠이 많건 간에 모든 이를 똑같은 시간에 맞춰 일하게 한다. 각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이다.최근 재택근무자가 늘어가는 추세지만 일부 업종과 업무에 한정돼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① 과학시간에 SF영화를 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훈련이 필요하며 어떤 측면에서 이것이 무중력 상태가 유사한지를 중력과 부력 등의
개념
을 사용해 설명한다.4 영화에서 비과학적으로 묘사된 장면들을 조사하거나, 영화 속 장면을 실제 실험으로 연결아마겟돈에서는 우주왕복선에 인공중력이 존재한다. 이 장면이 부적절한 이유는 무엇인가.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② 역할놀이로 만나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뉴턴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것이라고 설명했다.물체의 운동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관점보다 좀 더 발달된
개념
으로 필로포누스의 기동력설을 들 수 있다. 기동력설에 따르면 물체가 계속적인 운동을 유지하는 것은 처음 물체를 운동시킬 때 가해준 힘이 운동 물체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운동하는 물체에 내재된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최근 개봉 SF영화 리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승무원들의 심리적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토의한다.2. 상대속도와 관성의
개념
을 파악한다.구조대 우주선에 사고가 생기는 바람에 대원들은 우주선을 포기하고 마침 근처를 지나던 무인화성탐사선에 옮겨타려고 한다. 이 도킹과정에서 대원들과 탐사선의 접근속도가 너무 빨라 ... ...
Ⅱ. 신나는 과학수업의 현장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탐구만큼 중요한 것이 전략이다. 효과적으로 학생들을 집중시키고 흥미를 유지시키며
개념
을 이해시키는 것은 많은 교사들의 고민이다. 이것을 협동수업과 게임으로 해결한 예가 있다. 주인공은 바로 심재규 교사(퇴계원중학교). 그의 수업시간에 학생들은 늘 조별로 모여 앉는다. 그런데 그 조의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