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항공
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고려할 수 있고 해석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한다. 따라서 어떤 제품을 만들더라도 기계
공학
이 필요하다. 한마디로 세상에 있는 제품의 수만큼 취업의 길도 다양하다. 작은 생활 용품부터 철강, 조선, 자동차 등 중공업에 이르기까지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미래에는 항공우주분야 취업의 길도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1912년 4월 10일, 영국 잉글랜드의 남해안을 떠나 뉴욕으로 향하는 배 한 척이 출항했다. 이 배는 당시 최고의 과학기술을 자랑하던 선박회사가 만들어 낸 ‘타이타닉 호’라는 초호화 여객선이다. 타이타닉 호는 남다른 규모와 품격, 화려함으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그러나 타이타닉 호 ...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수학적으로 분배가 잘 이뤄지고 있는지를 보려는 노력은 오래 전부터 있었다.이탈리아의
공학
자이자 경제학자였던 빌프레도 파레토는 대다수 나라에서 소득 상위 20%가 80%의 부를 가져간다고 주장했다. 그는 각국의 소득분배가 다음과 같이 일정한 분포를 보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N=AY-a (Y는 소득,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리벳에 책임을 돌리는 의견도 있다. 제니퍼 후퍼 매카티와 팀 포이크라는 두 재료
공학
자는 2008년 빙산이 외벽을 스치면서 리벳이 떨어져나와 물이 들어갈 수 있는 틈이 생겼다는 내용이 담긴 책을 냈다. 이들은 수십 년 동안 바닷속에 있던 철판을 관찰해보면 갈라지거나 부서진 곳이 없어 강철의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세 가지를 꼽고 있다. 첫 번째는 자유로운 연구 분위기다. 양승우 서울시립대 도시
공학
과 교수는 ‘과학동아’ 1월호 기고문에서 “도시는 혈연이나 지연에 의해 만들어진 관계가 아니라 서로의 목적이 일치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며 “새로운 혁신을 만들어 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두 ... ...
날개 두 겹으로 초음속 뚫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날개가 상쇄시키기 때문이다.사실 날개를 두 겹으로 만드는 아이디어는 1950년대 독일의
공학
자 아돌프 부스만이 먼저 떠올렸다. 그러나 이런 겹날개는 날개 사이의 틈이 좁아서 초음속에 도달할 즈음 공기가 잘 통과하지 못하고 막혀 버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초음속에서는 훌륭하게 작동하지만, ... ...
상아탑서 잠자는 기술, 돈버는 기술로 깨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기술이다.박 소장은 “임상실험을 하는 의료시스템
공학
과와 MEMS를 연구하는 기전
공학
과가 의기 투합해 실용화 사업을 직접 발굴한 것”이라며 “실제 의료기기 제조 기업과 제품 양산 논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최근에는 기능성 유산균과 세포 분석기 등 바이오 분야를 비롯해 신개념 ... ...
실험실에 지구의 과학을 담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다. 흔히 ET(Environment Technology)로 표현되는 환경기술 부분이 이 분야와 관련 있다. 지구
공학
적인 접근을 통해서 지구의 온도를 통제하려는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이처럼 지구온난화는 다양한 분야와 연결된 탐구 분야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지속될 것이다. 이번 호에서 확인할 ... ...
Pisa Tower No More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탑의 기울기는 이제 사탑들 중에서 중간 정도이며 덕분에 새로운 경쟁이 시작됐다.
공학
자들은 이탈리아(피사) 사탑의 기울기를 6°에서 4° 이하로 만들었다. 관광객이 계속해서 찾아오도록 하기 위해 탑을 완전히 세우지는 않았다. 이제 세계 곳곳의 기울어진 건물들이 자신이 가장 많이 기울어진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사람이 나눠서 검증하니 공동 연구의 의의가 있지요.”이들은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
공학
과 교수와 트위터를 통해 모인 ‘백인천프로젝트’ 멤버들. 올해 30주년을 맞은 한국 프로야구의 역사를 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뒤 이를 과학논문으로 완성해보자는 집단지성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중이다.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