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방사성 원소는 온도나 압력 변화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일정한 속도로 붕괴하여
안정
된 다른 원소로 변한다. 이때 방사성 원소의 양이 처음 양의 반으로 되는 기간을 반감기라고 한다.어떤 광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방사성 원소의 양(A)과 새로 생성된 원소의 양(B)을 측정하면 이 광물의 생성 ... ...
(3) 지름 1백m 소행성, 1만년 한번꼴 지구 충돌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가능하다.결국 틈새에 있는 소행성들은 불
안정
하고 무리 지역에 있는 소행성은 비교적
안정
된 궤도를 돌고 있다는 결론이 가능하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모든 소행성들이 앞에서 이야기한대로만 진화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소행성들은 행성처럼 큰 덩치를 가지고 있지 않고, 워낙 많은 ... ...
물리- 바늘 끝서 노는 요술팽이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팽이는 쉽게 구할 수 있는 놀이 기구 중 하나입니다. 구조적으로 불
안정
해 한쪽으로 쓰러져 있는 팽이에 힘을 가해 돌려 주면 기세 좋게 회전합니다. 편평한 바닥에서만 ... 이 밖에도 나침반에 응용한 자이로 컴퍼스, 선박의
안정
장치로서의 자이로
안정
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 ...
뇌 신경전달물질 감소 때문에 술마신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술을 마시는 것은 뇌 안에 있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의 양이 감소하여 정신상태가 불
안정
해지기 때문인지도 모른다는 연구결과가 일본에서 발표됐다. 근착 '쿼크'에 따르면 이는 일본 교토부립의대 법의학 교실 고무라세쓰오 교수진이 쥐를 사용한 실험에서 밝힌 것.인간은 소량의 음주에 의해 ... ...
극저온물리학의 선봉 헬륨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헬륨은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 중 유일하게 0K에서도 유체 상태가 고체 상태보다 더
안정
돼 있다. 헬륨은 자연에서 수소 다음으로 가벼운 원소이다. 따라서 질량이 적음으로 해서 이 0K가까이에서도 원자들이 계속 요동한다. 또한 수소나 다른 어떤 원소들보다 원자 상호간의 인력이 적기 때문에 ... ...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무더운 날이 많겠으나 가끔 이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소나기가 오겠으며 대기의 불
안정
으로 국지적인 집중호우 현상이 1-2차례 있겠다. 기온은 평년(평균 24-26℃)과 비슷하겠으며 강수량도 평년(1백55-2백94㎜)과 비슷하겠다.장마:평년과 비슷하게 6월 하순에 시작된 장마는 평년과 비슷한 7월 하순 ... ...
헬기타고 하늘에서 지질탐사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예정이다. 이 작업이 끝나면 앞으로 석유 가스 지열 등의 자원뿐만 아니라 지진 지반
안정
도 조사 등에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등 다양한 지질 구조 정보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 ...
286을 486으로 만드는 칩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부가세별도로 25만8천원) 아직까지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보고는 한건도 없었다"고
안정
성을 강조한다.하지만 이 칩 하나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닌 듯하다. CPU 클록이 빨라졌다고 해서 시스템의 모든 성능이 빨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현재 사용되는 거개의 286은 구식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한다.렐름의 페로몬에 의해 성적인 욕구가 촉발되거나 하는 일은 없으며 쾌적함이나
안정
감, 행복감, 자신감 등 긍정적인 기분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그 때문에 자신이 더욱 매력적으로 된 것처럼 느껴진다는 것.그러나 곤충 등 하등동물의 화학정보전달수단인 페로몬이 인간에게도 있다는 생각은 ... ...
집적도 한계 돌파하는 바이오소자 가능성 확인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방향을 결정하는 다이오드 특성을 어떻게 구현하느냐는 문제. 그리고 이러한 기능을
안정
적으로 구현하는 방법 등이 중요한 포인트다. 이번에 개발된 단백질소자는 플라빈과 헤모글로빈을 이용해 전자를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미쓰비시전기와 산토리사는 2-3년내에 이 단백질소자를 이용한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