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플로팅 시티, 도시를 물에 띄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1℃만 올라가는 데 그칠 수 있지요. 즉, 2100년까지 해수면이 63cm까지 올라갈 수도 있고 40cm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막을 수도 있어요. 이처럼 해수면 상승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막을 수 없는 일이 됐어요. 그럼 해안가에 위치한 도시는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지요. 미국 샌프란시스코도 삼면이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있어요. 신생아는 하루 18~22시간, 어린이는 하루에 약 10시간, 어른은 하루에 최소 6시간 이상을 자야 해요. 잠에는 ‘렘수면(REM sleep)’과 ‘비렘수면(non-REM sleep)’이라는 수면 상태가 있어요. ‘렘수면’은 신체만 잠든 상태예요. 뇌는 깨어 있고, 근육은 잠이 든 것이지요.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 ...
- [과학뉴스] 경북 포항에 규모 5.4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규모가 큰 지진이에요. 하지만 20일까지 확인된 부상자는 84명으로, 경주 지진보다 3배 이상 많았지요. 또 주택 파괴는 5100여 건에 달했고, 학교에도 심각한 피해가 발생해 다음 날 예정이었던 대입수능시험도 일주일 뒤로 미뤄졌어요. 포항 지진은 경주 지진에 비해 규모가 작은데, 왜 더 큰 피해가 ... ...
- Part 1. 기후변화를 막아라, 전세계의 약속!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서식 기간도 길어졌기 때문이지요. 보고서에는 금세기 말 해수면 상승으로 10억 명 이상이 살던 곳을 떠나야 한다는 경고도 실렸어요. 실제로 세계 해안 도시들은 해수면 상승에 대비해 제방을 쌓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둥둥~ 물 위에 떠서 ... ...
-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말했어요.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멀어요. 가장 효율이 좋은 LED 조명의 수명은 5만 시간 이상이지만, 글로위의 조명은 수명이 짧아요. 발광 생물이 계속 빛을 내게 하려면 때마다 먹이를 주고 노폐물을 제거해야 하거든요. 지난 12월에 처음 시연했을 때는 3일 밖에 지속되지 못했어요. 현재 조명의 ... ...
- Part 2. 스마트 시티, 도시가 똑똑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잘 돼 있으니 점점 사람들이 몰려들어 몸집이 지나치게 커지는 거지요. 인구 1000만 이상의 도시를 ‘메가시티’라고 하는데, 2015년 기준 메가시티는 서울을 포함해 전세계에 36개나 된답니다. 하지만 메가시티는 엄청난 양의 자원을 써서 환경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교통 체증, 주택 부족, 높은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한편 프랑스 항공우주국(CNES)이 주최하는 캔위성 대회는 정해진 임무를 하나 이상 수행해야 해요. 다른 대회와 달리 캔위성이 착지하는 순간 에어백을 사용하는 임무도 있지요. 에어백은 실제로 탐사선이 달이나 화성을 탐사하기 위해 착륙에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예요. 캔위성이 낙하하다가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생각하고 있지요. 또 공주개미가 날아갈 수 있는 주변 수km를 철저히 조사한 결과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어요. 그래도 아직 여왕개미를 직접 발견하진 못했기 때문에, 앞으로 2~3년 동안 더 주의 깊게 감시할 계획이랍니다. 생물 대이동을 경계하라!무역이나 여행 등으로 여러 나라 사이의 ... ...
- [과학뉴스] 공룡의 똥이 지구를 풍요롭게 만들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먹고 배설할 때까지 움직이는 거리를 계산했어요. 그 결과, 공룡은 먹이를 먹고 평균 51km이상의 먼 거리를 움직인 뒤 배설을 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즉, 초식 공룡이 식물이 풍부한 땅에서 그렇지 않은 땅으로 멀리 움직여 배설한 결과, 배설물의 영양분으로 땅이 비옥해졌다는 거예요. 연구팀은 이를 ... ...
- 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항체가 생겨요. 그런데 독이 다시 들어왔을 때 이 항체들이 너무 많이 만들어지면 몸에 이상 반응이 오지요. 이를 ‘과민성 쇼크’라고 해요. 호흡이 어려워지고 심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답니다. 또한 솔레놉신은 심장 기능을 떨어뜨려서 혈압이 떨어지고, 심장 박동이 느려지는 증상이 나타날 ... ...
이전276277278279280281282283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