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사고체계에 의해 개념이 형성됐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논의가 이뤄졌는지를 학생들에게
전달
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큰 안목을 갖고 자신의 전공분야를 바라볼 수 있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최근에도 논문을 계속 쓰신다고 하셨는데요. 앞으로의 계획은 어떠십니까?”“수학의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전달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고음 스피커를 맨위에 위치시켜야 소리가 좀더 멀리까지
전달
될 수 있다.하지만 우리나라의 많은 영화관은 이렇게 3가지로 음향을 분리하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다. 대부분 고음과 저음의 2가지로 음향을 분리한다고 한다.스크린 뒤에 설치된 세대의 스피커 말고도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물론 인지과학도 마이크론(10-6m) 단위의 신경세포에서 나노 수준의 구체적인 생체
전달
분자로 내려와 있기도 하다.인지과학과 첨단과학기술의 만남이 보여주는 미래상은 SF소설과도 같다. 보고서에는 NBIC가 인간의 수행능력 향상이라는 기본 목적뿐 아니라 과학기술을 포함한 사회, 경제 등에 ... ...
카페인 함유 적은 커피 발명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효소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카페인 합성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에서 mRNA(유전정보를
전달
하는 물질)를 제거했다. 따라서 카페인 합성효소를 만들지 못하고 카페인 합성도 줄어들게 된다. 보통 커피나무보다 카페인 함유량이 70%까지 줄어든다고 한다.사노 박사는 “유전자 변형 커피나무의 원두는 ... ...
소리
전달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연구진이 초파리 유전자 실험을 통해 소리를 신경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
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와 단백질을 발견하고 그 작용과정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대덕연구단지 내 한화석유화학 중앙연구소의 김창수 박사팀은 초파리에서 소리를 청각세포신호로 변환시키는 유전자를 발견,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반응 등 생리활동을 측정하고 그 활동을 이해하기 쉬운 정보(情報)로 변환시켜 생체에
전달
하는 조작 혈압 · 심장박동 · 피부온도 · 근긴장(筋緊張) 등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생리활동이나 뇌파(腦波)는 큰 변화를 제외하고는 자기의 의지로 강하게 혹은 약하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를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근적외선 영역의 광원, 측정된 광의 분석을 위한 실시간 분광광도계(spectrometer), 광을
전달
하기 위한 광파이버, 그리고 과일을 이송하기 위한 캐리어 등으로 이뤄진다. 광원의 경우 일반적인 조명용 광원은 가시광선의 특성이 강해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주로 가시-근적외선 영역의 특성이 좋은 텅스텐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바뀌고 이 신호가 칩에 입력되면 전기적 신호로 바뀌어 무선으로 로봇제어기에
전달
된다. 최근 실험에 따르면 로봇팔은 사람의 팔과 똑같이 움직였다고 한다.인간의 뇌를 포함한 신경계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생물의 신경계와 기계를 연결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독일의 막스 ... ...
새로운 광소재로 각광받는 하이브리드 재료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큰 사진이나 동영상 자료를 어디서나 빠른 속도로 내려받을 수 있다. 정보를 실은 빛을
전달
하거나 조절하는 광소자를 가정에서 일반 전기부품처럼 흔히 사용한다.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이런 상황이 현실에서 이뤄진다고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반기술이 바로 빛을 활용하는 광기술이다. KAIST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한몫을 한다. 대상의 형태나 크기에 대한 정보는 눈의 망막을 통해 시신경을 타고 뇌로
전달
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필연적으로 정보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심리적 요인이 작용한다. 즉 대상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개인의 사고과정과 심리상태에 따라 착시현상이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