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꿈 길몽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세포, REM-off cell)가 있다.렘온 세포와 렘오프 세포는 시소게임을 벌이며 사람의 잠을
조절
한다. 렘온 세포가 작동하는 동안 즉 꿈 활동이 '활성'화된 시간에 렘오프 세포는 작동을 멈춘다. 반대경우도 마찬가지다.렘온 세포의 작동이 시작되면 세가지 일이 벌어진다. 우선 눈과 연결된 신경을 자극해 ... ...
쥐라기 공룡 만들어낸 조지 칼리슨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움직인다. 컴퓨터공학자들은 작은 컴퓨터를 이용해 각 피스톤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을
조절
한다. 이제 공룡은 실제에 가깝게 움직이고 포효한다.■7단계/색채작업공룡로봇을 만드는 마지막 단계는 피부색을 입히는 과정이다. 실제적인 색을 구현하기 위해 공룡의 특성과 유사종족의 색채나 ... ...
삶의 소우주 화장실과 욕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보디샴푸 시장이 급신장하고 있다. 보디샴푸는 사용 후 당기는 감이 적고, 각질층의 수분
조절
에 중요한 성분인 천연보습인자(NMF)와 세포간지질을 어느 정도 보호해 준다.한편 목욕 후에 사용하는 용품으로 전신을 상쾌하게 유지하고 몸의 악취를 제거시켜 주는 '보디방향' 제품에는 샤워코롱과 ... ...
3. 인간과 기계를 통합시킨 사이버네틱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내에서 유지시키는 것이 그 한 예다. 1940년대 중반에 이같은 작동이 온도 제어 시스템의
조절
장치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다.초창기의 시스템들이 할 수 있었던 기능은 중앙제어 메커니즘의 복잡도에 의존했다. 그러나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컴퓨터 역시 크기나 비용면에서 그리 ... ...
게으름뱅이 천국 그리고 종말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텔레비전을 출시했다. 그 텔레비전은 단순히 켜고 끄는 기능 외에도 채널 선택, 음량
조절
등의 기능을 모두 말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한 마디로 게으름뱅이를 위한 텔레비전이었다. 그 제품이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자 딴 회사들도 서둘러 그런 텔레비전을 내놓았다.하지만 곧 문제가 ... ...
선조들의 지혜 숯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수분을
조절
하기에 충분하다. 이 때 소금은 건물 기초의 물빠짐을 좋게하고 숯의 수분
조절
기능을 도와준다. 또 숯의 환원성도 팔만대장경 보관에 한몫을 했음은 물론이다.우리 속담에 ‘만년 숯이요 천년 굴피(콜크)’란 말이 있다. 숯은 만년이 되도록 변하지 않는 물질이라는 것을 표현한 ... ...
미래 자동차가 좇는 세마리 토끼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작년 3월부터 연재돼온 '자동차 과학'이 이번호로 막을 내린다. 엔진내부에서 외관에 이르는 자동차의 전분야를 다루어온 이 난은 비운전자도 알 수 ...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원활하게 만드는 것은 물론, 자동차의 옆면에 공기의 흐름을
조절
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보다 안전성을 높였다 ... ...
생활속의 '야누스' 정전기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약해졌기 때문이다.정전기 발생이 잦아지는 겨울철에는 실내 습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조절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옷을 입을 때는 합성 섬유만을 겹쳐 입기 보다는 면과 같은 천연섬유와 같이 입는 것도 정전기 예방을 위한 한 방법. 치마와 스타킹이 말리면 로션을 스타킹에 발라 일시적인 ... ...
자넷 리와 함께하는 당구물리학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미끄럼마찰력이다.회전하는 방향은 당구공의 중심과 당점을 연결한 직선이다. 이를 잘
조절
하면 쿠션을 사용하지 않고도 장애물을 피해 둥글게 돌아서 적구를 맞출 수 있다. 쿠션과 당구공당구공이 쿠션과 일정한 각을 이루고 충돌하면 회전하게 된다. 당구공이 쿠션에 닿을 때, 진행 방향과 반대 ... ...
4. 수중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인한 산소의 공급이 중단되므로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CO₂)농도가 증가해 뇌는 호흡
조절
기작을 통해 횡경막을 자극하게 된다. 이때 인간은 호흡에 대한 충동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충동은 처음에는 약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강해져서 결국은 물 위로 올라 와서 숨을 쉬도록 만든다.숨을 참고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