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료
소재
성분
요소
자재
원재료
제재
뉴스
"
재료
"(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뭇잎보다 효율 좋은 인공광합성 장치 나왔다
2015.03.17
포도당으로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광합성 원리를 응용하면 비용이 들지 않는 청정
재료
로 고부가가치 탄소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세계 각국 연구진들이 앞다퉈 인공광합성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진은 이미 개발된 태양전지 기술과 물을 분해하는 촉매 기술 등을 융합해서 에너지 ... ...
미래형 3차원 반도체 제조법 발견
2015.03.16
굵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산화아연 나노막대는 반응물질에서
재료
를 얻어 성장한다. 반응물질의 농도가 부족하면 여러 개의 나노막대가 경쟁적으로 물질을 빼앗기 때문에 길이가 서로 달라지고, 농도가 충분하면 서로 균등하게 자라난다. 연구진의 실험결과 ... ...
‘딱딱한 반도체’의 주범 절연막 부드러워졌다
2015.03.10
연구진이 개발한 고분자 절연막을 이용해 만든 대면적, 고유연성 전자소자. - 네이처 머티리얼스 제공 국내 연구팀이 사물인터넷의 실현을 ... 기기 등 차세대 전자소자 기술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
분야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10일자에 실렸다.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겉모습이 변함없게 하기 위해 이것저것 집어넣은 가공식품이 부엌에서 신선한 제철 식
재료
로 만든 음식과 건강면에서는 비교가 안 될 거라는 건 생활상식 아닐까.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
2015.03.09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장에 선정된 스티브 그래닉 자연과학부 교수는 미국 일리노이대
재료
공학과 석좌교수 출신이다. 더구나 이들은 미국 대학을 사직하고 UNIST 교수로 옮겨 왔다.” IBS 연구단장은 현재 KAIST와 포스텍이 4명씩으로 가장 많고 서울대와 UNIST가 그 다음으로 3명씩이다. - 이런 해외 ... ...
열렸다 닫혔다 마법의 ‘나노 통로’
2015.03.04
단백질을 통로에 일렬로 배열시키면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인터페이스’ 16일자에 게재됐다. 나노 주름(왼쪽 위)에 힘을 가해 주면 주름 윗부분이 달라붙으면서 통로(오른쪽 위)가 만들어진다. 아래는 통로 안에 금 ... ...
[출동! 명예기자]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03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광물 결정은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만들어져요. 광물 결정이 될
재료
가 녹아 있는 물이 흐르다가 한자리에 쌓이고 쌓여 광물 결정이 만들어지지요. 얼마나 오래 걸리냐고요? 소금물을 말려 소금을 만들어 보세요. 가루 소금은 아주 쉽게 만들어지지만, 정육면체 모양의 소금 ... ...
[3D 프린터, 혁명을 출력하다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15.03.02
3D 프린팅 기술은 지금도 혁신을 거듭하는 중이다. 양동열 교수는 “기억소재같은 새로운
재료
들이 3D 프린팅에 쓰이는 추세”라며 “한번 만들어진 뒤 시간이나 환경조건에 맞게 모양이 변하는 물체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말한 기술은 바로 2013년 세상에 처음 공개된 뒤, 대중과 언론의 ... ...
장갑 끼고 드론 조종해봤나
2015.02.27
섞어 기존 구리전선만큼 전기가 잘 통하면서도 유연한 스마트 섬유를 개발해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1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스마트 섬유의 핵심은 전기가 잘 통하는 은나노 입자다. 지름 70~9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은나노 입자가 섬유 속 전선을 촘촘히 ... ...
레이저프린터로 DNA 뽑는다
2015.02.24
레이저프린터로 원하는 DNA를 뽑아내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인공 생명체의
재료
가 되는 염기서열을 원하는 대로 정확히 만들 수 있는 만큼 인공 생명체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과·방두희 연세대 화학과 교수팀은 공동으로 오류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