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스페셜
"
100
"(으)로 총 2,8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배우러 토머스 박사팀이 있는 프레드허치슨암연구센터를 찾았고 그 결과 지금까지
100
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골수이식으로 목숨을 건졌다. 토머스 박사는 1989년 은퇴한 뒤에도 집필과 강연으로 바쁘게 지냈다고 한다. 12. 닐 암스트롱 (1930. 8. 5 ~ 2012. 8.25) 달에 토끼가 살지 않는다는 걸 보여준 사람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5 ~ 2012. 1.28) 교과서에 있는 ‘그 사진’을 찍은 사람 ‘공부는 때가 있다’고들 말하지만
100
% 그런 것도 아니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문구도 있지 않은가. 오스카 밀러(Oscar Miller)가 바로 그런 경우가 아닐까. 1925년 미국 가스토니아에서 태어난 밀러는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는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영구동토처럼 조건이 좋을 경우 게놈해독 가능성의 한계는
100
만 년 전 정도라고 한다. 이야기를 전개하기 앞서 말의 진화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약 5500만 년 전 하이라코테리움(Hyracotherium)이라는 고양이만한 동물이 살았는데 오늘날 말과 맥, 코뿔소의 공동조상이라고 한다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5년 동안 50명이 투입된 이번 신약 개발은 시간으로 따지면 절반 정도, 금액으로 따지면
100
분의 1 정도 줄였다”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전통적인 신약 개발이 아니라 새로운 형태에 도전해 이뤄낸 결과”라고 말했다. 전통적인 신약 개발에서는 병을 일으키는 원인 단백질을 알아내고,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7.23
창업하는 벤처 기업의 수가 그만큼 많아야 합니다. 10%의 성공확률로
100
0개 벤처 기업 중
100
개 기업이 살아남는 것과 30%의 성공확률로 10개 기업 중 3개가 살아남는 것은 차원이 다르지요.” 13일 대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만난 박호용 인섹트바이오텍 CTO(생명硏 미래연구정책부 부장)는 바이오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21
만들어서 바이오그린21을 시작하려다 보니 처음에는 어려움도 많았다”며 “국회를
100
번도 넘게 드나들어 겨우 18억 원을 받았고 최종적으로 투자한 금액도 예산의 45% 정도인 3088억 원이었다”고 말했다. 바이오그린21 1단계 사업이 끝나가는 2007년, 농진청 연구개발국장이던 라 원장은 바이오그린21 ... ...
“3D업종이라고요? 미래농업은 상상이상을 보여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07
해줄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뿐 아니다. 지난해 세계 인구는 70억 명을 넘어섰고, 앞으로
100
억 명이 이상이 될 거라는 예상도 나온다. 식량 수요는 늘지만 식량 생산량은 줄어들 상황에 놓인 것이다. 그러나 생명공학 연구를 통해 ‘더위에 강한 쌀’이나 ‘바이러스 저항성이 강한 고추’ 등 새 ... ...
“
100
조원대 단백질 의약품 시장은 우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다양하게 쓰이고 있지만, 동물세포에서만 배양해야 하는 등 생산 공정이 복잡해 1mg에
100
만원 정도로 가격이 비쌌다. 특히 대부분 해외 특허로 등록돼 있어 신약 개발에 활용하려면 로열티 부담도 컸다. 김학성 교수는 “우리나라 의약 산업이 특허가 만료된 항체 의약품을 복제하는 바이오 시밀러에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계속 오르면서 대표적인 한류성 어종인 명태가 러시아 쪽으로 북상해버렸죠. 지난
100
년간 전 세계 해양 수온은 0.5℃ 상승했는데, 한반도 주변 수온은 지난 40년간 1.3℃ 올랐습니다. 우리 근해의 해수 생태계 변화가 그 어느 곳보다 빠르다는 얘깁니다.” 기후변화의 증후는 바닷속에서만 나타나고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반드시 필요하다. 박 국장은 “금년까지 연구개발에 투자한 액수는 전체 목표액의 44%인 1
100
억원”이라며 “정부 예산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면 많은 투자를 끌어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계획한 R&D투자비 집행과 해양생물자원관 건립 필요 국토부는 충남 서산에 2013년 완공을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