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15,297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01
큐레이터가 된 계기가 있나요?저는 공과대학을 다녔지만, 동아리 활동을 통해 미술에 대
한
관심을 꾸준히 이어왔어요. 과학과 미술을 모두 좋아하는 사람으로 두 분야를 연결할 수 있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미술대학원에 진학했어요. 아직까지도 과학을 예술계에서는 생소하게 받아들이는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01
연구하는 아데노신과 최인호 연세대 교수팀이 연구하고 있는 T1AM이라는 물질이 가장 유력
한
후보다. 과연 이 연구가 성공해 사람이 다시 겨울잠을 자는 날이 오게 될까. 겨울잠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단언컨대 가능하다”고 믿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겨울잠 스위치 켜고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
과학동아
l
201401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20년 안에 다가올 화성 유인탐사에서 우주인 생존을 위
한
비법이 무엇일지 눈여겨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겨울잠 스위치 켜고 우주여행 떠나자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 ...
초파리는 경쟁자 앞에서 더 뜨거운 사랑을?
과학동아
l
201401
얼마 전 불법 정력제(일명 가짜 비아그라)가 대거 유통되어 문제된 적이 있다. 흥미롭게도 이런 약이 필요없는 종이 있다. 초파리 수컷은 엉뚱
한
곳에서 정력을 얻는데 ... 단명
한
셈”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실패에 대
한
뇌의 반응이 건강에 얼마나 중요
한
지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 ...
‘노벨 화학상 두 번’ 프레데릭 생어 별세
과학동아
l
201401
개발
한
공으로 1980년 두 번째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노벨상의 역사에서
한
사람이
한
분야의 상을 두 번 받은 경우는 생어 박사를 포함해 두 명에 불과하며, 화학상에서는 유일하다. 두 번째 노벨상을 안겨 준 생어 기법은 빠르고 정확하게 DNA 염기 서열을 해독하는 기술로 최초로 인간의 유전체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01
오늘 내야 할 전기요금을 올릴 것인가, 아니면 싼 전기를 쓰는 대신 누군가를 암에 대
한
공포로 떨게 만들 것인가. 고압송전탑은 우리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고 있다 ... ...
아무거나 중독이라 말하지 말라
과학동아
l
201401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여기에 인터넷과 게임을 사랑하는 입장으로
한
마디 달자면 이렇다. “게임 좀 하면 어때? 하루종일 공부와 일만 하는 것도 아니고, 이 정도 여유는 있어야지.” 아무데나 중독이라고 붙이고 걱정하지 말자. 걱정도 많이 하면 중독된다 ... ...
내 돈은 언제 두 배가 될까?
과학동아
l
201401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자코포 데 바르바리는 1495년, ‘파치올리의 초상’이라는 그림을 그렸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파치올리(1445~1514)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수학 ... 시대에 기하학과 회계학 분야에 큰 획을 그은 수학자이자 수도사였던 파치올리는 진정
한
르네상스적 인간이었다 ... ...
Part 2
한
국인이 제안
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01
예정이다.현재 액시온은 강력하고 우아
한
가설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비판도 있다.
한
물리학계의 원로는 “액시온은 매우 뛰어나지만 틀린 이론”이라며 날선 지적을 했다. 김 교수는 느긋하다.“암흑물질의 후보는 많습니다. 자연이 무엇을 택할지는 실험을 해봐야 알겠지요.” 세메르치디스 ... ...
그 많던 공룡 배설물은 누가 다 치웠나
과학동아
l
201401
있지만, 나무 성분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브란스키 교수는 “바퀴벌레는 중생대를 지배
한
곤충 가운데 하나였다”며 “초식공룡이 멸종하면서 블라툴리다에도 먹이를 잃었지만, 지금도 일부 바퀴벌레는 박쥐와 공룡의 후손인 새의 배설물을 먹는다”고 말했다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