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러
종류
여러가지
d라이브러리
"
각종
"(으)로 총 3,558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말 뚱보가 되는 지름길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또 많이 먹으며 미국적인 식품으로 여겼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40여종의
각종
아이스크림이 팔리고 있기 때문에 아이스크림가게에 가서 그냥 "아이스크림 주세요"라고 했다가는 영락없이 촌뜨기로 몰린다.또 3년 전부터 이웃 일본에서도 아이스크림데이를 만들고 미스 아이스크림을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지질학적으로 보아 비교적 최근에 바다로부터 솟아 올라 생긴 것이다. 이 섬들에는
각종
동식물이 다양하고 풍부한데 육지생물과는 다름을 볼 수 있다. 만약 종이 변할 수 없다면 이 섬들에 사는 모든 동물들이 육지의 것들과 같아야 한다. 이를 어떻게 창조론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진화론에서는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여행기간 동안 뿐만 아니라 여행 며칠 전부터 착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한다.최근에는
각종
약제들이 '멀미 안녕'을 외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여행을 떠나기에 앞서 복용했을 때 좋은 예방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약물외적인 대책들보다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도 흔하다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전시돼 있고 '서울천문동호회''대학생 아마추어 천문 연합회''한국 아마추어 천문학회'등
각종
아마추어 천문단체들의 간판과 조그만 플래카드들이 걸려있다.김한철씨의 공식적인 직함은 망원경을 제작해 판매하는 선두과학사 사장이지만 실제로는 우리나라 '아마추어천문가들의 대부'로서 잘 ... ...
화상자료를 컴퓨터가 소화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보급되기 시작한 컬러 스캐너에는 1천6백만가지 색상을 입력할 수 있어 컴퓨터 그래픽,
각종
브리핑 작업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해상도가 가장 뛰어난 제품이다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과학적 관리법'이 시조가 되는 산업공학은 '테일러협회'의 성립으로 20세기 들어
각종
동작연구, 시간연구 등 작업관리 연구로 본격화된다.전자기학이 산업에 응용된 예는 18세기 중반까지는 전신, 전기의료 분야에 그쳤다. 그 후 전기공업은 1880년대부터 1890년대에 걸쳐서 전등조명의 보급 및 이에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하지 못하는 나라, 부녀자들이 낮잠이라는 것을 모르는 나라, 배달되는 신문에 끼어놓은
각종
광고지로 주부들이 휴지통을 고안해서 쓰는 나라, 자그마치 5조 4천억달러라는 돈을 은행에 예금해 놓고도 성냥갑만한 집안을 오밀조밀 꾸며놓고 만족해하는 사람들이 사는 나라. 이런 나라가 일본이다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성장해왔다. 특히 케텔이 무료서비스를 계속한 결과 통신인구는 눈덩이처럼 불어나 현재
각종
통신망에 접속된 사람은 15만명에 이르고 있다. 통신이용의 확산으로 인해 정보사회로 한발 더 다가섰다는 평가도 있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없지 않다.이 동호회의 초대 시솝을 맡았던 채희선(heesun, 한양대 ... ...
색을 구별하는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사방을 선회하면서 자신의 카메라로 연구실을 샅샅이 살핀다. 마침내 그 로봇팔은 66가지
각종
물품들이 모여있는 곳에서 오렌지색 상자하나를 골라낸다. 그렇다고 로봇팔이 어떤 상표를 읽고서 그 상자를 선택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이 로봇팔의 '아버지'인 마이클 스웨인은 자신의 로봇이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분자생물학의 급진적인 발전으로 말미암아 새로이 탄생된 단백질공학(protein engineering)은
각종
미생물을 활용, 이용가치가 높고 기능이 개선된 단백질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특히 1953년 왓슨(Watson)과 크릭(crick)이 유전물질인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이래 코른베르크(Kornberg)의 DNA복제효소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