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관측 장비가 노후된
결과
인지를 구분할 수 없었습니다. 결국, 인공위성 네 기의 관측
결과
를 비교하고 분석해서 금성의 기후변화임을 밝힐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5개 나라 18명의 연구원들과 협력했습니다. 현대 과학의 거의 모든 분야가 그렇겠지만, 행성 연구에서는 특히나 국제협력이 ...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그리고 마침내 미국 대학 진학에 성공했다. 한국과 미국의 시차 때문에 오전 4시경 합격
결과
를 확인했다. 합격했다는 문구를 읽고 너무 기뻐서 한창 자고 있던 룸메이트들을 모두 깨워 소식을 알렸다. 그 새벽에 부모님께 전화도 하고, 선생님들께도 감사 문자를 보냈다. 참고로 미국 대학은 ... ...
[포토뉴스] 상관관계가 보이는 수학 그림의 모습은?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한 눈에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카오스’ 2019년 11월 26일자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 ...
지구를 위한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사라질 확률이 6%였어. 2℃나 오른다면 북극 해빙이 완전히 녹을 가능성은 28%였지. 이
결과
를 보고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파리협정보다 더 엄격한 기후변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냈어. 실제로 12월에 열린 25번째 유엔 기후변화협약 회의에서는 산업화 이전 대비 2℃ 상승도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기술이 발달하고 컴퓨터 그래픽이 도입되면서 전에는 할 수 없었던 표현이 가능해졌고,
결과
적으로 영상의 생동감이 높아졌다. 여기에 수학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9년부터 2005년 사이에 개봉한 스타워즈 1~3편에서 수학이 어떻게 활약했는지 알아보자.1970~1980년대에 제작된 스타워즈 시리즈에서 ... ...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날씨에 따라 해당 경로로 이동할 확률을 계산하고, 그만큼의 흰머리수리를 더했어요. 그
결과
한 해에 펜실베이니아를 찾는 개체는 평균 5122마리로 밝혀졌답니다. 미국 애리조나에서는 시민과 함께 야생동물을 지키는 길라리버인디언커뮤니티의 ‘둥지 관찰자’들이 흰머리수리의 번식지를 ... ...
[한페이지 뉴스] 외계행성 19개 화학조성 보니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다량의 물이 발견된다면 외계행성과는 형성된 방식이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 12월 11일자에 발표됐다. doi: 10.3847/2041-8213/ab5a8 ... ...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전략은 짧은 시간에 지방을 축적하고 큰 몸집을 만드는 데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2월 13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126/science.aax904 ... ...
[한페이지 뉴스] 조류인플루엔자가 사람에 감염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감염시켰다. 그리고 감염된 세포에서 만들어진 전체 단백질의 종류와 양을 분석했다.그
결과
연구팀은 M1 단백질의 양에서 큰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인간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M1 단백질을 정상적으로 만들어낸 반면, 조류인플루엔자A 바이러스는 M1 단백질을 충분히 만들어내지 못했다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화산재가 남한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doi: 10.14770/jgsk.2015.51.4.363다만 시뮬레이션
결과
를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밀레니엄 대분화에서 나온 화산재는 아직 남한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오히려 남한보다 더 멀리 떨어진 일본 홋카이도 지역에서 밀레니엄 대분화 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