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뱃속에서는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이상이 생겨 수분 흡수를 잘 못 했을 때 나오는 대변이 바로 설사다. 기나긴 여정의
마지막
이다. 감미로웠던 음식은 어느새 똥으로 변하고 말았다. 이제는 밖으로 배출되기만을 기다릴 뿐.클릭생활 밥을 먹으면 왜 졸릴까?우리 몸은 움직이기 위해서 산소와 영양소를 필요로 한다. 소화기관 역시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이어달리기와 비슷하다. 휴대전화안의 신디사이저란 부품은 가장 가까운 기지국에서
마지막
전파를 받게 되고 비로소 통화가 된다. 수많은 기지국을 거치지만 걸리는 시간은 매우짧다.‘부르르’진동의 비밀공공장소에서 휴대전화를 진동 상태로 해 놓는 건 필수 에티켓. 그런데 어떻게 휴대전화가 ... ...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전신마비 환자들은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마지막
희망을 사이보그 기술에서 찾는다. 원리는 이렇다. 전신마비 환자가 머릿속으로 오른손을 드는 상상을 한다. 그러면 뇌의 신호를 잡아 낸 컴퓨터가 곧바로 반응하여 컴퓨터 화면의 커서가 오른쪽으로 ... ...
이탈리아 피자 연구가 '피자마자 다 팔리옹'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살아 있는 피자를 감상하면서 어떻게 나눠야 할지 생각해 보자. mission 4 세계시각 피자
마지막
피자는 가운데에 시계가 달려 있는 희한한 시계였다. 일명‘세계시각 피자’.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한 자리에서 피자를 먹을 때 자기 나라의 시간을 알 수 있도록 만든 피자였다. 한국 서울, 미국 LA,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쾌변을 도와 준다는 요구르트도 먹어 봤지만 아직은 효과가 없다. 이제 갈 곳은 병원.
마지막
희망을 품고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과학교실 정기섭 교수를 만났다.변비는 무엇인가요?변비는 보통 때보다 똥이 딱딱하고 건조하여 똥을 눌 때 고통스러운 경우를 말해요. 똥을 오랫동안 못 누면 ... ...
아프리카 특급열차 '싸빠리 익스프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이제
마지막
방송이 나왔다.“편안한 여행 되셨습니까? 도착지까지 30km밖에 남지 않아
마지막
으로 최대속력으로 달리겠습니다. 열차는 역시나 수동으로 정지하게 돼 있습니다. 끝까지 편안한 여행 되시던지….”지금 열차의 속도는 시속 250km. 열차의 속도는 10초에 시속 8km씩 더 늘어난다. 브레이크 ...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모으는 동안 전세계의 군인들과 무기가 동원됐지만 외계인을 물리칠 수 없었다. 이제
마지막
남은 희망은 어과동 파이브뿐이었다. 우리가 항복할 기미가 없자 외계인들은 다시 공격을 시작했다. 그들의 우주선에서 나오는 이상한 빛은 닿자마자 모든 것을 가루로 만들어 버렸다. 어과동 스피드가 ... ...
비밀의섬 '안보여도'의 육상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육상대회가 모두 끝났다. 역시 예상대로 마사이족 선수들이모두 우승했다.
마지막
남은 것은 시상식. 그런데 이게 웬일? 어디에선가 멧돼지 한 마리가 시상식장으로 들어왔다. 결과는?마사이족 선수들은 엄청나게 빠른 달리기와 장대, 창을 이용해서 멧돼지를 단숨에 잡았다. 역시 마사이족을 ... ...
태권V 지치지 않고 싸우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놨다가 순간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애니메이션을 보면 주인공이 악당 로봇에게 당하다가
마지막
필살기로 에너지가 많이 드는 무기를 사용해 위기를 모면하고 악당을 물리친다. 물론 극적인 효과를 위해서 짜여진 시나리오지만 실제로 필살기에 사용할 에너지를 모으기 위해서 시간이 필요하다. ...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되어 있고, 제3장은 앞의 2장의 관찰에 대한 회고와 세포의 형성과정 내용이다특히
마지막
에 세포설을 발표, 그 학설을 모든 생물계에 일반화시키는데 성공했다 모든 동물을 명명하고 기재한 후 분류하며, 분류의 이론적 근거를 밝히는 학문 체계적인 동물 분류는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