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의 과학자 키우는 전세계 화학인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가도록 예정되었지만 항공기 정비문제로 2시간 이상 지연되어 피츠버그에 도착하니
밤
11시나 되었다. 학생들은 피츠버그대학 기숙사에, 그리고 인솔자들은 학생들과 떨어져 카네기멜론대학 기숙사에 여장을 풀고 잠자리에 들었다.미국은 올해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5백 주년을 맞아 ICHO를 ... ...
시차는 일광욕으로 극복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금방 저녁이 돼버려 생체시계를 빨리 앞으로 돌려야 하며, 바르셀로나로 출발했을 때는
밤
이 될 때까지는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생체시계는 오히려 늦추어야 한다. 이는 저녁에 출발했어도 마찬가지. 즉 동쪽으로 갈 때는 생체시계를 당겨야하고 서쪽으로 갈 때는 늦추어야 한다.도쿄 지에 ... ...
2 해류·바람·환경오염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해양의 파도 높이, 해양의 바람 분포를 탐사하며,
밤
과 낮 또는 기상의 조건에 관계없이 지상 표면을 촬영할 수 있는 레이더를 이용한 영상촬영장치와 해양온도 대기온도수분 분포 등 지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각종 센서들을 탑재하고 있다. ERS- ... ...
한국의
밤
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노출시간에 따라 늘어 놓음으로써 독자들이 판단하게끔 하자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좋은
밤
하늘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되도록이면 노출을 많이 주어 빛을 많이 모으는 것이 좋으나 광공해가 심한 도시에서는 노출시간이 많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사진4). 마지막으로 육안 관측과 가장 유사한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절반 정도로 하늘을 덮고 있다. 좋은 쌍안경을 가지고 별을 보기에 완벽할 만큼 어두운
밤
을 기다린다면 이 아름다운 천체의 흐릿한 섬광을 볼 수 있을 것이다.서양의 점성술사들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시대를 '물병자리 시대'(Age of Aquarius )로 이야기하고 있다. 봄은 태양이 황도를 따라 움직이면서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칠레의 아타카마사막 같은 곳에서도 지의류는 생존한다. 낮에는 타는 듯한 더위와
밤
에는 얼음이 어는 차가운 바위 위에서도 자란다. 혹독한 북극에서도 발견된다. 90종의 좀더 복잡한 관다발식물이 사는 곳에서 2천5백종의 지의류가 살고 있는 것이다. 남극에서도 4백종 이상의 지의류가 살고 있다. ... ...
6. 세타파 개발하면 누구나 초능력자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있다.마음이란 무엇인가. 발명왕 에디슨이 처음 전구를 발명하여 전기에너지로 어두운
밤
을 환하게 밝혔을 때 이를 감탄하면서 쳐다보던 어느 귀부인이 에디슨에게 "선생님 전기가 무엇입니까?"라고 질문을 하였다. 이때 에디슨이 "부인 전기가 무엇인지 묻지 마시고 잘 쓰십시요"라고 대답했다. ... ...
은하수를 건너는 배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유성우(Perseid Shower)8월은 '별똥별'의 달이다. 우리는 연중 어느 때보다도 요즘의 별
밤
에서 가장 많은 별똥별을 볼 수 있다. 특히 매년 7월 말에서 8월 중순에 걸쳐 페르세우스자리의 북쪽을 복사점으로 해서 거대한 유성군이 출현한다. 유성우중에서 가장 유명한 이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8월13일경에 그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저 하늘의 바닥을 보라"-베니스의 상인, 5장1막에서셰익스피어를 포함한 옛날사람들에게
밤
하늘은 사람이 만든 빛들로 얼룩진 모습이 아니었다. 그들은 우리보다 별들을 더 잘 볼 수 있었으나 우리가 갖고있는 천체망원경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가 관측도구를 이용해 관찰하는 경이로운 현상들은 알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
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잘 느낄 수 없다. 먼지층이 약간의 태양빛을 흡수·차단하긴 하지만 매우 미약한 양이다.
밤
이 되면 거리는 온통 인공조명으로 뒤덮이면서 먼지층은 지상의 빛들을 반사해 마치 하늘이 어떤 밝기를 가진 것처럼 부옇게 만든다. 그리고 약한 별빛을 차단시켜 아주 밝은 별 몇개를 제외하고는 우리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