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잠자리 날개 무늬, 진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닮았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만들어지는 과정은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수학이
큰
역할을 하는 게 아닐까요? 이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9월 17일 자에 실렸습니다 ...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분수를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할 수도 있어요. 수학의 가장
큰
매력은 같은 수학을 완전히 다른 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 초콜릿 분수 문제는 떨어지는 초콜릿으로 과자를 코팅하는 초코바를 만들 때도 쓸 수 있지만, 동시에 초콜릿이랑 조금도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않습니다. 박 대표는 “특히 최근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는 동물 체험 시설이 가장
큰
문제”라며 “진짜 없어져야 할 동물원은 이런 체험 시설”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는 “냉정하게 말하면 한국 사람들은 그동안 동물원과 동물들에 대해 크게 관심이 없었다”며 “이 사건을 계기로 한국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만큼 크다. 한번 삽입하면 유선으로 충전할 수 없는 탓에 기기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
큰
배터리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또 7~10년마다 배터리가 다 닳으면 기기를 교체해야 하는데, 이때 기기와 수술비만 3000만 원 가량 된다. 박 책임연구원은 “몸속 인공 심박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면 배터리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마치 자석에 철가루가 끌려가듯이 초점 위치에 잡히게 돼 있어 빛의 초점(약 1μm)보다
큰
입자는 정교하게 집을 수 있다. 또한 레이저의 초점을 스캐너, 홀로그래피 등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서 입자도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다. 원하는 장소에서 입자를 떨어뜨리려면 레이저를 끄기만 하면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밝혀낸 밀 유전자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연구해나갈 계획”이라며 “곡물 중 가장
큰
밀의 지도가 완성된 만큼,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벼나 보리에 대한 연구도 더욱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예상했다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플라스마 상태를 안정적으로 수백 초 유지해야 한다는 기술적 난관이 불안감의 가장
큰
요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중국 등이 ITER에 기대를 거는 이유는 핵융합에너지의 가능성 때문이다. 핵융합에너지는 지구에 풍부한 수소를 연료로 활용한다. 중수소(D) 1g과 삼중수소(T) 1.5g이면 석탄 20t과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해양 생지역학 피드백 연구는 북극해의 미래 기후를 전망하고 원인을 밝혀내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임형규POSTECH 환경공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해 기후변화가 북극해의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hglim@postech.ac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유이기도 하다. ‘4성분계’로 한 번에 최대 220종 생성 유 교수가 경제성보다 더
큰
문제로 꼽는 것은 내구성이다. 유 교수는 “보통 자동차는 10년 이상 탈 수 있어야 한다”며 “현재 수소연료전지는 2~3년 만에 출력이 3분의 1로 줄어드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백금 촉매는 연료전지 안에서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대략적으로 알려주는 함수가 얼마나 정확한지 알려주는 거예요. RSA 암호의 핵심은 엄청
큰
수를 소인수분해하는 게 어렵다는 걸 이용한 것이므로 리만 가설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설령 소수를 전부 찾을 수 있어도 소인수분해는 다른 문제”라며,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