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탐지기에서 DNA식별법까지 현대의 과학수사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작성의 과학성에 크게 의존하고 피검사자의 심리적 불안과 죄의식을 구별할 수 없다는
한계
가 있기 때문이다.실제 우리나라의 경우 박상은양살인사건 용의자에 대한 거짓말탐지기상의 증거를 법원에서 받아들이지 않은 예가 있었다.개인식별로 앞으로 유용하게 쓰일 판별법은 앞에서 나온 DNA ... ...
한일 기술격차 해소를 위한 제안 경직적인 예산운영 피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과학기술예산의 비중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는 근본적인
한계
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1986년 국방비 4조3천89억9천만원(총예산의 31.2%)중 1%만 기술개발투자에 할애할 수 있다면 무려 4백30억9천만원의 과학기술투자를 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이는 국방기술과 ... ...
종합진단 기로에 선 선택-개발이냐 보존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자금과 기술이 준비되지도 않았다.비슷한 예는 71년 발표돼 큰 반향을 일으켰던 '성장의
한계
'와 그후 20개이상 제시된 세계적 모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성장의
한계
'의 저자중 한 사람인 '메도우스'가 실토했듯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사실상 불가능한 정책을 설계하고 논쟁하는 데 소모됐다." ... ...
80년대의 신소재10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철강문명에서 이제 우리는 신소재시대로 옮아가고 있다. 온갖
한계
상황에서 초능력을 발휘하는 새로운 소재를 총체적으로 살피고 신소재가 끼칠 경제생활까지 점검해 본다. ...
PART1 정보·통신 광자공학의 시대를 연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제어와 네트웍화의기능을 광자공학시스템에서도 실현시킬 것이다. 물론 재료과학에도
한계
는 있다. 정보 자체는 재료가 아니기 때문이다. 시스템의 기능이 높아질수록 그에 관련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늘어날 것이다. 재료과학자와 소프트웨어공학자의 협력이 필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 ...
PART5 전자재료 실리콘 시대가 붕괴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예측되고 있다. 실리콘웨이퍼에 미세한 회로패턴을 인각시키는 기술은 물리적인
한계
에 가까와지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방법이란 무엇일까? 그 하나는 현재 '단층건물'인 회로를 '고층건축'화 하는 것이다. 디바이스의 3차원화이다. 또한 고속으로 작동하는 트랜지스터를 만들기 위해 실리콘에 ... ...
PART7 복합재료 재료의
한계
넘는 앙상블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단독재료는 실현불가능한 성능을 발휘하는 복합재료. 필요에 가장 적합한 설계가 가능하다.철근콘크리트나 베니어판에서 보듯이 재료 단독으로는 실현이 불가능한 우수한 성질을 발휘하는 재료가 일반적인 의미의 복합재료이다. 오늘날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대표되는 복합재료는 고분자나 금속 ... ...
신소재의 경제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크롬 망간 코발트 플라티나 등 전략적인 물질이 필요하다. 이들은 부존량에도
한계
가 있을뿐더러 분포도 한정돼있어 많은 나라들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연구자들은 새로운 금속에 의한 합금, 파인세라믹스, 고분자재료, 복합재료 등의 제조기술을 개발하고 있고, 그런 기술로 만든 ... ...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나타난 눈 결정의 플라스틱 복사판이 만들어진다. 적설 분포세계적으로 눈이 내리는
한계
는 평지에서는 남북양반구의 위도 35도가 되고 고지에서는 열대에서도 내린다. 아프리카의 킬리만자로에는 연중 눈이 있고 빙하도 있다. 적설은 습윤한 기단의 지배를 받으므로 해안에 가까울수록 많고 ... ...
PART1 하이테크에서의 일본의 기술력 세계제일은 시간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집중시켜 1976년 이후 저손실화경쟁에서 선두경쟁에 뛰어들었다. 1979년 석영섬유의 이론
한계
치에 근사한 0.2dB(1km당 빛의 투과율 97.6%)의 극저손실 광섬유를 개발, 10년 가까이 지속되었던 이 분야의 기술개발경쟁에 종지부를 찍었다.이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미국의 MCVD법과는 다른 독창적인 VAD법.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