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9,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산 왕과 암산 신동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06
궁금해진다.암산의 비법, 주산! 암산 왕 이정희 선생님이 말하는 암산의 비법은
바로
‘주산’이다. 주산이란 주판이란 도구를 이용해 수를 계산하는 것을 말한다. 암산을 하려면 반드시 주판을 이용한 주산 훈련이 필요하다. 그런데 두 사람은 언제부터 주산과 인연을 맺게 됐을까? 민석 군이 먼저 ... ...
INTRO 떴다 떴다 비행기~♬ 수학으로 날아라!
수학동아
l
201106
이놈의 인기는…. 수학이 없이는 설명이 불가능한 쥬엘의 ‘비행 완전 정복’ 특강!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떴다 떴다 비행기~♬ 수학으로 날아라!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PART 3 힘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PART 4 수학으로 날아오른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숨 막히는 스포츠 속 운동화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06
있다. 신발 끈 매는 방법은 2조 가지?!어떤 신발을 사든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
바로
끈 매기다. 끈을 맬 일이 자주 없기 때문에 다른 신발을 보면서 따라 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신발을 자기 발에 최적화시키려면 끈 매는 법을 잘알아두는 게 좋다. 달리는 거리나 길바닥의 상태에 따라서도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 1] 왜 1은 소수가 아닌가?
수학동아
l
201106
소인수분해를 합니다.그런데 자연수 범위에서 유일하게 역수가 존재하는 수가 있는데,
바로
1입니다. 그래서 1은 소수에서 빼기로 했답니다. 이렇게 하면 역수가 존재하는 수를 제외하기로 한 약속과 소인수분해를 유일하게 하려는 두 가지 원칙을 모두 지킬 수 있게 됩니다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06
장점을 결합한 방향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즉 체세포를 원하는 체세포의
바로
윗단계의 성체줄기세포까지만 역분화시킨 뒤 이를 원하는 체세포로 다시 분화시키는 방법이다. 즉 이편 계곡에서 저편 계곡으로 넘어가는데 산꼭대기(유도만능줄기세포)까지 올라간 뒤 내려가거나 산등성이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06
흐르는 것처럼 뉴런도 전기신호가 55mV를 넘어야 옆 뉴런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55mV가
바로
뉴런의 역치 인 셈이다. tDCS에서 흘려준 전류는 이 역치 값을 낮춰 뉴런끼리 신호를 빨리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머리 회전이 빨라지는 것이다.tDCS가 머리에 전류를 흘리는 최초의 기계는 아니다. 1804년 ... ...
“과학동아 같이 멋진 잡지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106
과학동아 5월호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학생들은 설명을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기면
바로
손을 들고 질문했다.2학년 오영석 군은 잡지에 쓸 사진을 구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했다. 윤신영기자는 “현장을 방문해 사진을 직접 찍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생생한 분위기를 그대로 전할 수 ... ...
알부터 성충까지 관찰 - 배추흰나비 키우기
과학동아
l
201106
배추밭에 가면 작고 흰 나비가 나풀거리며 날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바로
배추흰나비다. 농가에서는 배추, 양배추, 브로콜리 등의 채소를 갉아먹어 골칫거리지만, 초여름 정취를 불러일으키기에 배추흰나비만한 것도 없다. 배추흰나비에게는 천적이 없다. 덕분에 배추흰나비 애벌레는 높은 ... ...
파마약 도전정신으로 플라스틱 태양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106
일도 어렵지 않다.그런데 지금껏 플라스틱 태양전지가 널리 사용되지 않은 이유는
바로
효율 때문이다. 플라스틱은 금속이나 반도체에 비해 전기가 잘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2007년 연구실에서는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이 연구는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게재됐는데, ... ...
허블 3D
과학동아
l
201106
목숨을 담보로 하면서까지 NASA가 허블우주망원경의 서비스 미션을 결정한 이유는 뭘까.
바로
허블망원경을 살리기 원했던 미국과 세계 시민들의 열망 때문이었다. 그 열망이 화려한 영상과 잔잔한 이야기로 담긴 영화, 허블3D는 결국 그 가치를 아는 자들에게만 소비되며 선택된 감동을 주는 것이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