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d라이브러리
"
기초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시 주목받는 갈륨비소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어려운 형편이다.그동안 과학기술원과 전자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화합물반도체에 관한
기초
연구가 진행됐고 최근 해외에서 이 분야를 전공한 과학자들이 잇따라 귀국해 갈륨비소반도체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아직 투자를 망설이고 있는 상황이다.삼성코닝과 금성전선이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그런데 이 파장 영역에서는 지금까지 강력한 광원이 없었기 때문에 새로운 소재개발의
기초
가 되는 원자 및 분자연구에 어려움이 많았다.고밀도 고강도의 방사광을 활용하면 △물질의 원자 및 분자단위의 구조분석 △금속의 물성(物性)연구 △화학반응의 정밀분석등이 가능하며, 정밀도도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가장 각광을 받을 수 있는 분야가 바로 농작물의 육종이다. 현재 이 분야는 대학의
기초
연구기관 뿐만 아니라 미국의 몬산토(Monsanto)사, 영국의 어그리컬처럴 제네틱스(Agricultural Genetics)사 등 유수의 해외기업들이 큰 관심을 가지고 연구개발하고 있다.주로 개발되고 있는 대상은 주곡작물 과채류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연간 연구비를 현재의 30억원 수준에서 95년까지 80억원으로 늘려 그동안 축적해 두었던
기초
기술을 착실히 응용해 나갈 계획이다. 연구분야도 기존의 4개 분야(유전공학 미생물공학 생물자원 생물공정)에 세분야(면역학 환경과학 생체공학)를 더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특수사업분야도 ... ...
컴퓨터선생님 노릇 고달프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들은 지식이 날아가 버린다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그리하여 심화과정 교육이 다시
기초
과정부터 반복되는 비능률적인 면에 익숙해져 있다.과연 80시간의 심화연수를 마치고 교단에서 학생들에게 자신있게 수업을 전개해 나갈수 있을까.각종 컴퓨터 경진대회에 상위 입상한 학생들에게 컴퓨터 ... ...
제2회 보람과학퀴즈대회 열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좋은 경험이 된다. 평소 생활이나 수업내용 속에서 궁금했던 점을 주제로 잡아 관련된
기초
자료를 읽고 실험으로 과학적 사실을 증명하는 가운데 문제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올해 출제될 문제는 모두 열가지 주제에 걸쳐 있다. 각 주제마다 4~8개의 문제가 출제되므로 참가자들이 한정된 시간내에 ... ...
환경원년 돌아보는 공해추방운동연합 최열 공동의장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의아해 하는 분위기였다. 어쨌든 그는 4년여의 수감기간동안 환경관계의 책을 읽고,
기초
지식을 쌓는데 전념했다.환경운동가로서 최열씨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지난 85년 '온산공단지역 집단괴질사건'을 규명하면서 부터다. 그는 83년부터 2년간 온산지역의 대기·수질오염도를 측정, 주민들이 앓고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중심으로 한 유전공학 선진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발전된 유전자재조합기술을 주로
기초
연구에 적용시켜 왔다. 특히 대장균에 기생하는 φx174와 φλ가 가진 모든 유전자의 유전정보를 판독하는데 주력했다. 그 결과 이들 생물이 가진 다양한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다. 아울러 이들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세계관에서 벗어날 수 있을만큼 서유럽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15세
기초
서유럽의 지적 수준은 조선학자들이 주목할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1400년 무렵의 서유럽은 문명사에서 아직도 어두운 시기였다.오늘날 이 지도는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저 유명한 '중국의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재생불량성 빈혈 등 면역체계의 질병에 대한 치료법을 확립했다. 노벨 의학·생리학상이
기초
의학이 아닌 임상분야에서 나온 것도 오랜만의 일이다.올해의 노벨상은 미국이 휩쓸었다. 수상자 가운데 5명이 미국인이고 캐나다 출신 테일러도 스탠퍼드대학 교수로 있다. 또 단위기관으로 역대 노벨상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