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슈뢰딩거의 고양이’로 만드는 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쓰이는 가장 기초적인 논리회로는 낸드(NAND) 회로입니다. 두 개의 입력비트가 모두 1일 때만 0을 출력하고, 나머지 경우에는 1을 출력하는 연산을 말합니다. NAND 회로를 조합하면 컴퓨터에 필요한 모든 논리회로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회로를 범용 논리회로라고도 부릅니다.양자컴퓨터는 ... ...
- [Career] 찌르면 ‘아야!’ 통증 내뱉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모방 연구는 인간의 감성을 담을 때 완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지의 세 감각, 모두 구현할 때까지 - 심민경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박사과정 연구원 센서를 직접 제작하고, 이를 전자피부에 접목하고, 정성적인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등 감각 구현의 모든 과정을 직접 진행해볼 수 있습니다.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R&E 활동, 어떻게 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시간을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어도 연구 발표 한두 달 전에는 실험을 모두 마칠 수 있도록 계획을 짜는 것이 좋습니다. 결과를 논리적으로 분석해 기록하고 표현하는 과정은 실험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또한 시간과 정성을 많이 쏟아야 하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남겨 놓지 않으면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9] 진화와 생물의 다양성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동일한 과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유전자가 같아 특정 질병에 모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캐번디시 종은 ‘바나나 불치병’으로 불리는 변종 파나마병인 ‘트로피칼 레이스4(TR4)’에 내성이 없다. 바나나 나무 한 그루가 이 질병에 감염되면 순식간에 다른 나무도 ... ...
- Part 2. 비버챌린지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만들어졌고, 나라면 어떻게 표현할 것이냐가 중요합니다. 이게 바로 컴퓨팅 사고력이고, 모두가 갖춰야할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비버챌린지는 온라인에서 체험할 수 있으니 지역에 따라 소외되는 학생 없이 누구나 함께 컴퓨팅 사고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 ...
- [수학 잡지 독자가 만든 문제] 삼각형으로 정사각형 쪼개기수학동아 l2018년 09호
- 3개의 색깔이 모두 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그리고 꼭짓점 3개의 색깔이 모두 다르다면 그 삼각형의 넓이는 0도 아니고 홀수분의 1 꼴도 아니라는 것을 보입니다. 평면에 있는 점의 색을 정할 때 좌표가 유리수이면 쉽게 색을 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좌표가 무리수일 때는 조금 더 ... ...
- Part 1.사라진 필즈 메달 편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오지 않다니요. 비르카 교수에게 물어볼 게 산더미인 기자들과 다른 수상자 모두 당황한 표정이었습니다. 대부분 속으로 ‘무척 비싼 가방이거나 소중한 추억이 담긴 가방인가보다’라고 생각했을 겁니다. 그렇게 비르카 교수를 뺀 수상자의 사진이 인터넷 뉴스에 실렸습니다. 관계자는 ... ...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골치 아픈 포물선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원래 게임이 발전할수록 플레이어는 피곤해지는 법. 피곤한 만큼 재미는 있으니 모두 인내하시기 바랍니다.자, 탄도학을 완벽히 탑재했으니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에 접속해 써먹어 봐야겠죠? 참고로 저는 지금껏 적을 무찔러 이기려다 살아남은 적이 없으니, 오늘부터는 작전을 바꿔 열심히 도망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대푯값 편수학동아 l2018년 09호
- 필요가 없지요.1, 2, 2, 3, 3처럼 가장 많이 등장한 숫자가 두 개(2, 3)면 이때는 2와 3이 모두 최빈값입니다. 결국 최빈값은 경우에 따라 없을 수도 있고 무척 많을 수도 있는 거예요! 대표는 늘 부담스럽다!상황에 따라 대푯값을 무엇으로 할지 고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떤 상황에서 대푯값을 ... ...
- [에디터 노트] ‘보통의 여름’을 위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작은 아이는 2010년생 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8년을 제외하고 10위 안에 들어가는 해는 모두 2000년대다(2005년, 2009년, 2010년, 2013년, 2014년). 우리 아이들은 태어나서 지금까지 거의 매년 여름 폭염을 경험한 셈이다. 어쩌면 한 여름 이정도 더위는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금세기 말까지 지구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