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떠서 북서쪽으로 진다. 춘분날은 밤낮의 길이가 같지만, 실제로는 일몰 후에도 얼마간은
빛
이 남아 있어 낮이 좀 더 길게 느껴진다.관측팀은 첨성대 주변에서 해가 뜨고 지는 위치를 관측한다. 즉 태양 방위각을 알면 각(角) 선의 방향이 첨성대 창문(출입구)의 방향과 관련이 있는지 생각해볼 수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3극 진공관 발명 등은 1936년 BBC가 첫 방송을 시작하기까지 40여 년의 시간이 지나서야
빛
을 봤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태엽자동차에서 1879년 벤츠의 자동차까지는 400여 년이 걸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금의 과학기술 발전 속도가 느려졌다는 말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반면 금동화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빛
을 쏘아주면 2차원 혹은 3차원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여기에 또 하나 더. 연구단은
빛
을 이용해서 세포의 3차원 형상을 볼 수 있는 전영역 간섭현미경을 만들었다. 세포에 화학 변화가 일어나면 부피가 변하면서 세포의 높이가 변한다. 연구단은 간섭현미경을 이용해서 세포의 형태를 3차원으로 ... ...
2mm 속에서 질병·가짜 찾아낸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OCT는 ‘전역광간섭단층촬영술’이라고 해서 대부분의 OCT 시스템처럼 가로 방향으로
빛
을 쏘지 않고도 샘플 내부의 횡단면 이미지를 현미경처럼 한꺼번에 얻을 수 있다.OCT를 만들었다고 해도 실험할 생체시료가 없다면 그림의 떡일 뿐. 의사 자격을 소지하지 않으면 생체시료를 다룰 수 없다는 ... ...
일상에서 출발해 큰 무대 누비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개발한 복사냉난방시스템 제품은 각종 건축 공사에 적용되고 있다. 생활 속 창의성이
빛
나다 건축환경계획연구센터는 건축환경계획연구실과 건축환경설비연구실이 통합된 연구센터다. 김 교수와 함께 서울대 건축학과 여명석 교수가 지도하고 있으며, 현재 석사연구원 8명과 박사연구원 17명이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유인 우주탐사 분야는 민간으로 이관될 것으로 보인다. 신형 우주복은 어쩌면 끝내
빛
을 보지 못한 채 실험실 연구로 전락하는 운명을 맞을 수 있다.하지만 NASA가 직접 달 탐사를 하지 않더라도 언젠가 우리 인류는 다시 달에 가게 될 것이고 달을 넘어 더 먼 우주를 향한 도전도 계속될 것이다. 비록 ... ...
'조명'받는 LED 조명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일반 LED조명의 백색광은 RGB를 조합한 게 아닙니다. 형광등처럼 인광물질을 이용해 청색LED의 파장을 길게 바꾼 것이죠.”빨간색(R), 녹색(G), 청색(B)의
빛
이 합 ... 이용해 도시의 미관을 밝히는 작업이 앞으로 전 세계 도시에서 펼쳐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모든
빛
은 LED로 통하는 셈이다 ... ...
환상의 그림나라에서 알쏭달쏭 과학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모습이 종이에 비치고 있어.이 장치의 앞에는 작은 구멍이, 안에는 거울이 있구나.
빛
이 이 구멍으로 들어와서 거울에 반사되어 종이에 상을 만드는건가 봐. 카메라와 비슷한 원리네.껄껄껄~! 그래, 맞다. 그렇게 맺힌 상을 따라 그리기만 하면 정확하고 아름다운 그림이 되는 거란다. 내가 그린 이 ... ...
숫자로 풀어 보는 바둑의 원리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9개의 점을 ‘화점’이라고 하는데 특히 중앙의 것을 ‘천원’이라고 한다.*허상 :
빛
이 거울에 반사될 때, 그 반사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한 곳에 맺히는 가상적인 상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그런데
빛
은 너무 빨라서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물체에 레이저를 쏴 반사돼 나오는
빛
을 간접적으로 기록하는 기술이 있긴 하지만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 실생활에는 쓰이지 못하고 있다.여기에 햅틱(haptic) 기술까지 더해지면 리얼리티는 한 차원 더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햅틱 기술은 이미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