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 천재가 밝힌 ‘생명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역시 자신의 연구가 장벽에 부딪힌 장면. 경쟁 관계에 있던 다른 연구팀에서 먼저 연구에
성공
했다는 편지가 지인에게 전해지는 순간이다. 편지를 받은 주인공은 이웃한 연구실에 있던 피터 폴링. 대서양 너머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화학과 학과장으로 있던 라이너스 폴링의 아들이다. 라이너스 ... ...
뇌 흉내 내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4월에는 미국 남가주대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로 작동하는 시냅스 회로를 만드는 데
성공
했다. 6월에는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팀이 쥐의 배아에서 뽑은 뇌세포를 단백질체에 이식해 12초 동안 기억을 저장할 수 있는 인공 뇌를 만들었다.지난 8월 18일에는 세계적인 컴퓨터 회사인 IBM이 최초로 사람의 ... ...
DNA벽돌로 나노 만리장성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폴 로데문트 박사는 DNA 오리가미를 타일로 써서 다양한 2차원 나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성공
했다고 ‘네이처 화학’ 8월호에 발표했다. DNA 오리가미는 실 형태(1차원)인 DNA 가닥을 접어 만든 정사각형 같은 2차원 구조물이다. 오리가미(종이접기)가 2차원인 종이를 접어 3차원의 구조물을 만드는 데서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위치한 포항가속기연구소를 찾았다. 마침 3년에 걸친 성능향상작업의 종합시운전에 막
성공
한 참이었다.[포항방사광가속기의 선형가속기 구간. 붉은 관 위에 있는 작은 구리관이 선형가속기다. 전자가 170m를 달리며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된다.][성능향상작업은 빔라인과 저장링 구간을 모두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호기를 만들었다. 결국 미 해군은 1960년 세계최초로 바닷속 1만 916m 깊이까지 들어가는 데
성공
했다. 이 기록은 지금까지도 깨지지 않은 채 남아있다.최신형 잠수정 왜 1만m 못 들어갈까만약 트리에스테 2호기를 현대 해양과학자들에게 넘겨준다면 얼마나 많은 과학실험을 할 수 있을까. ‘할 것이 ... ...
물리 - 유체 움직임의 다양한 활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997년 대 프랑스전에서 브라질 축구선수 로베르토 카를로스는 환상적인 슛을
성공
시킨다. 그의 왼발 프리킥은 수비벽 오른쪽을 지나 골대를 벗어나는 듯하더니, 마치 곡예하듯 왼쪽으로 휘어지며 오른쪽 골네트를 흔들었다. 베르누이 효과가 만들어낸 예술이었다.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걱정이 많았지만 가서 성적도 잘 받고, 의욕이 충만해져서 온 것을 보고 프로그램의
성공
을 확신했다”고 말했다.2학년 학생 일부는 여름학기 프로그램인 ‘학부생 하계 연구 지원제도(SURF)’에 참가한다. 칼텍과 GIST학부생이 상대학교의 지도교수를 배정받아 여름학기 중에 16주간 개인 연구를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페이스북보다 3년이나 앞선 SNS였으나 언어의 벽을 극복하지 못하고 세계화에는
성공
하지 못했다.2007년 미국 애플사는 아이폰을 세상에 내놓는다. 애플 제품은 디자인만으로도 선망의 대상이었지만 아이폰에는 그 이상의 뭔가가 있었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해 PC에서만큼이나 쉽고 빠르게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하위직 사람보다 더 오래 산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적으로 가장
성공
한 사람들은 가장
성공
하지 못한 사람들보다 평균 5년을 더 살았다. 책의 저자인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하워드 프리드먼 교수는 “(건강에 유해한) 스트레스는 일 자체에 대한 도전과 부담감보다는 다른 사람들과의 충돌에서 ... ...
“북한 비대칭 전력 첨단과학으로 막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겪었던 현무 유도탄은 지금도 한국군의 주력 무기”라며 “한 번의 쓰라린 실패가 더 큰
성공
을 불러온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이런 각고 끝에 세계 정상급 무기들을 개발해온 ADD의 연구원들에 대한 백 소장의 자부심은 대단하다. 그는 “ADD 연구원들의 역량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그들이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