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그린에너지섬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염분을 없애려면 역시 전기가 필요하다. 대부분 지역에서는 바닷물을 담수화하는 데 태
양
열을 활용한다. 박 센터장은 “우리는 제주의 특성을 살려 풍력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일조량이 많지 않은 지역에서도 활용하기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닷물을 담수로 바꾸면 ... ...
신기한 광섬유 제작소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개발 중인 새로운 광섬유들이다.지금 쓰는 광섬유는 정보를 빨리 전달하고, 많은
양
을 처리할 수 있는 반면 잘 부러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광섬유를 땅속에 묻을 때는 튼튼한 관 속에 넣는다. 집 앞까지는 광섬유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지만 집 안으로 들여올 때는 다시 느린 구리선으로 받아야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평균 5.2%를 줄이겠다고 약속했어. 이게 바로 ‘교토의정서’란다. 만약 이산화탄소
양
을 줄이지 못하거나 더 많이 배출할 때는 탄소를 배출할 권리를 사야 해. 누구에게 사냐고? 이산화탄소를 줄인 나라나 단체, 회사에게서 사야하지. 탄소배출권을 팔기 위해 많은 나라들이 이산화탄소를 더 줄이는 ... ...
[수학영재캠프] 가위바위보 효율 높이기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하는 것이 항상 전체가 함께 가위바위보를 하는 것보다 효율이 좋을까?1과 자신을 제외한
양
의 약수가 하나뿐인 수(p2 꼴)는 조를 나누는 방법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겠지만, 그런 약수가 여럿 있는 수는 어떻게 조를 나눌지 고민을 하게 될 수도 있다.문제 46명이 가위바위보를 하여 승자 한 사람을 ... ...
발명학교 '다맹그러 스쿨'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보여 주었다. 탄저균으로 병에 걸린 가축들은 모두 죽었다. 하지만 백신인 탄저균 배
양
액을 주사했던 동물들은 모두 살아 있었다.“드디어 성공이야~! 균은 해롭지만 반대로 잘 이용하면 약이 될 수 있다구!”“잠깐! 정말 그럴까? 당신은 거짓말쟁이야!”악당 업새블라가 수상한 과학자 세 사람과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33℃의 조건에서 하루에 14ℓ의 물을 만들 수 있다. 이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식수의
양
에 2배다.프랑스에서는 아프리카에 식수를 제공하기 위해 극지의 빙하를 적도 부근까지 끌어오는 시뮬레이션 연구가 한창이다. 700만 톤 규모의 빙산 한 덩어리를 녹이면 55만 명이 1년 동안 먹을 물이 생긴다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이제 입과 항문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소화기관에 집중해보자.소화기관은 주머니 모
양
인 위를 제외하고는 모두 원형관이다. 입에서 출발해 항문을 향해‘손가락 여행’을 시작해 볼까? 흠…, 그림이니 걱정하지 말고 따라오시라.음식물이 흘러가는 경로를 따라서 소화기관의 관을 거쳐 항문까지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로프를 없애고 전기열차처럼 레일 위를 움직이는 기술이 개발되면 운송량과 서비스의
양
이 크게늘 전망이다.X note기울어진 엘리베이터서울 강북구‘북서울 꿈의 숲’에 가면 기울어진 엘리베이터를 볼 수 있다. 산비탈에 수직 엘리베이터를 만들려면 땅을 뚫어야 해서 비용이 많이 든다. ... ...
3악장 - 청중을 감동시켜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고대부터 1700년경까지 거의 모든 현악기는 ‘거트 현’을 썼어요. 거트 현은
양
이나 고
양
이의 창자에서 질긴 심줄 부분을 뽑아내 꼬아 만든 현이에요. 소리가 부드럽고 따뜻한데다 자연스러워서 인기가 좋았지만 단점도 있었어요. 생물재료다 보니 온도나 습도에 민감해 연주하다 보면 곧잘 음정이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재료를 틀에 부을 때 계속 압력을 걸어 틀 구석구석까지 재료가 들어가면서도 모
양
이 또렷하게 찍히도록 만들었다.국새의 화룡점정은 바로 ‘광택’이다. 금합금만으로는 이토록 반짝이는 색을 낼 수 없다. 일일이 손으로 닦아 광택을 내야 한다. 알루미늄을 수μm크기의 알루미나(Al2O3)입자로 만든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