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도
도면
d라이브러리
"
지구도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이전에도 아홉 번째 혹은 열 번째 행성 후보였던 천체가 여럿 있었다. 하지만 명왕성을 비롯해 수많은 천체가 결국 행성이 아닌, 왜행성★으로 분류됐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플래닛 나인이 명왕성보다도 훨씬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있다면 역시 왜행성일 거라고 주장한다. 플래닛 나인이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플래닛 나인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맨눈으로는 절대 볼 수 없다. 아직까지 망원경으로도 관측하지 못했다. 그 대신 해왕성을 찾아냈을 때와 비슷한 과정으로 찾아냈다. 수학으로 궤도를 먼저 계산한 것이다. 콘스탄틴 바티진과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카메라가 달린 LSST 망원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미세먼지가 생기는 과정을 밝히기 위한 대규모 연구가 한반도의 하늘·바다·육지에서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 한국과 미국의 연구진이 참여해 5월 2일부터 6주간 진행하는 ‘한미 협력 대기 질 연구(KORUS-AQ)’다. 하늘과 바다에서 연구가 진행되는 현장을 두 기자가 직접 찾아가 취재했다.“멀미약 챙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우주범선은 어디 있죠?”처음엔 당황했다. 프랑스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파피용’에 등장하는 우주범선 ‘파피용’은 무려 14만4000명의 지구인을 태울 정도로 거대하다. 돛의 면적만 100만km2다(남한 면적의 10배). 이런 우주범선을 기대한 건 아니지만 지난 3월, 충남대에서 만난 우리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한정된 먹잇감 가운데 무엇을 주식으로 삼느냐는 야생에서의 생과 사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다. 이 선택에 따라 몸은 물론, 사회구조와 행동양식도 바뀐다. 야생의 생존게임에서 최종 승리한 원숭이들의 먹잇감 차별화 전략을 살펴보자.인간의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당장 오늘 점심에 무엇을 먹을 ... ...
[가상인터뷰] 단단한 소라 껍데기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안녕~! 나는 어과동 최고의 악당, 닥터 그랜마야. 지구정복을 위해 항상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역시 쉽지 않아. 지구정복은 잠깐 미뤄두고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기 위해 바닷가로 가야겠어!앗! 너는 단단한 껍데기를 자랑하는 소라? 소라의 단단한 껍데기를 이용해 갑옷을 만들면 엄청 튼튼한 갑옷을 ... ...
[과학뉴스] 점점이 태양 수놓은 수성의 여행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5월 9일 오전 7시 12분(미국 동부표준시), 주목할 만한 천문현상이 펼쳐졌다. 2006년 이후 10년 만에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인 수성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정확히 통과했다. 콩알만한 수성이 태양 위를 점점이 수놓았다. ...
[과학뉴스] 오로라의 원인 ‘자기 재결합’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신비로운 오로라와 지구 통신망을 마비시키는 태양폭풍의 원인으로 손꼽히는 지구 자기권의 ‘자기 재결합(magnetic reconnection)’ 현상이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선에 포착됐다.NASA는 지난해 3월 발사한 지구자기권 다중스케일(MMS) 위성이 10월 16일 지구 자기장의 경계면을 통과하던 중 자기 재결합 ... ...
[과학뉴스] 지구온난화로 고통 받는 철새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붉은가슴도요(Red Knot)의 ‘이주 시 몸집’이 줄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이들이 태어나는 북극의 온도가 급격히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몸집이 작아진 붉은가슴도요는 먹잇감을 구하는 능력이 부족해 서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과학자들은 또 다른 북극 철새들에도 비슷한 변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미생물연료전지를 부착해 오줌으로 발전할 수 있는 양말이 개발돼 화제다. 입고 다닐 수 있는 미생물 공장인 셈. 재난 상황에서 구조 요청을 보내거나 배터리 용량이 문제인 웨어러블 기기를 보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영국에 사는 과학자가 궁극의 친환경 소형 발전소를 만들고자 하는 꿈을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