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51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쪼여 박막 반도체 전도도 10만배 끌어 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4
관찰한 모습. -사진 제공 IBS 연구팀은 빛의 세기나 쪼이는 시간을
조절
해 정공의 농도를
조절
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전기 전도도는 최대 10만 배까지 높아졌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공정을 다양한 물질로 된 2차원 반도체에 적용해 트랜지스터와 같은 실제 회로도 만들었다. 조 부연구단장은 ... ...
원안위, 제어봉 오류로 자동정지된 신고리 3호기 재가동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9.13
재가동 승인 결정을 내렸다고 13일 밝혔다. 원자로에 내부를 아래위로 움직이며 출력을
조절
하는 제어봉집합체는 3개월 주기로 작동시험을 거친다. 원안위는 신고리 3호기가 자동정지 된 이유에 대해 제어봉집합체 작동시험 중 운전원이 시험 대상이 아닌 다른 제어봉이 갑자기 비정상적으로 ... ...
바지처럼 입는 로봇입고 뛰어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13
재현한 소프트 로봇을 개발했다. 공기를 주입하는 실린더와 배터리를 연결해 공기양을
조절
하는 방식이다. 영화 ‘포레스트 검프’는 주인공 포레스트가 어린 시절 엄마와 함께 찾아간 병원에서 의자에 앉아 딸각거리는 의족을 착용하는 기억을 떠올리는 것으로 시작한다. 딱딱한 의족의 ... ...
“야생마처럼 날뛰는 플라스마 잡는다” 국내 연구진, 새 이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2
자석을 지녀 특유의 3차원 플라스마 제어가 가능한 KSTAR를 이용해 플라스마 대칭성을
조절
하고 불안정성을 변화시키는 이론 모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또 이를 이용해 ELM 현상을 정밀하게 설명하고, 나아가 ELM을 억제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음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박 ... ...
[이강운의 곤충記]가을철 풀벌레소리 정취에 숨은 과학
2018.09.12
소리는 공기의 파장이다. 보통 동물들은 공기를 들어 마시면서 성대의 근육을
조절
해 소리를 내지만 곤충계 ‘소리의 달인’ 귀뚜라미는 마찰을 이용해 소리를 낸다. 도대체 어떻게 티끌 하나 없는 맑고 깨끗한 소리를 낼까? 귀뚜라미는 오른쪽 앞날개를 가로지르는 뾰족하고 오톨도톨한 ... ...
‘미국의 노벨상’ 래스커상 프로포폴·후성유전학 연구 과학자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09.12
하는 히스톤 단백질이 특정 화학 조건에서 모양이 변하면서 DNA 속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
하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오늘날 ‘후성유전학’으로 불리는 분야로, 생명체가 같은 유전자를 환경에 맞춰 다르게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의학과 기초생명과학 분야에 큰 변화를 불러왔다. ... ...
완치도 가능하다는 3세대 항암제 효과 한층 더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효능을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항체물질과 함께 주사하면 암 조직에서 M2대식세포와
조절
T세포의 수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고, T세포의 활성도 크게 향상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 결과 암의 크기도 현저히 줄어들었다. 김병수 교수는 “현재 상업화된 3세대 항암제의 효능을 한층 더욱 높일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뇌조직에서 많이 발현되는데, 그 결과 언어처리를 담당하는 회로와 혀와 입의 움직임을
조절
하는 운동신경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언어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유전자 쌍(부모에게서 각각 받으므로) 가운데 하나에 변이가 일어나 고장 난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정상 FOXP2 ... ...
진짜 총천연색 TV 개발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고분자 입자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페로브스카이트의 광학성질을
조절
해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가 자연색의 모사가 가능한 차세대 디스플레이가 가까운 미래에 양산화 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재석 교수는 ... ...
세포 속 청소과정 ‘오토파지’
조절
인자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칼슘통로 기능과 오토파지 과정으로의 이동이 모두 증가하는 것 역시 밝혀냈다. TRPML3를
조절
해 오토파지 현상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이 원리를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치료법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후속연구를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