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스페셜
"
발견
"(으)로 총 2,85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감수성이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최근에 일본에서 위암에 잘 걸리는 유전체를
발견
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어요. 하지만 인종이나 민족 간에도 유전체 차이가 존재해요. 일본인의 결과를 그대로 한국인에 적용할 수 없다는 거죠. 한국인만의 유전체를 해독하는 연구가 필요해요.” 이번에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분자를 인식하는 다른 수용체도 인식해 새로운 냄새 프로필이 나타났다는 것. 아무튼 이
발견
으로 투린(현재 그리스의 알렉산더플레밍생의과학연구소에 적을 두고 있다)은 다시 목청을 높이게 됐다. 십 수 년이 지났지만 머스크향을 내는 다양한 분자들의 냄새는 필자의 기억에 아련히 남아있다.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를 읽고 인공광합성 연구에 뛰어든다. ● 2007년 광합성 분자에서 양자 현상 첫
발견
엽록체 막에는 엽록소가 깔때기처럼 배열돼 있어 흡수한 빛에너지를 가운데 반응중심으로 모아 광합성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한 엽록소에서 빛에너지를 흡수한 전자가 단계적으로 이동해 반응중심에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않은 나이지리아의 ‘이워 엘레루(Iwo Eleru)’ 지역에서 약 1만3000년 전 인류의 뼈가
발견
됐는데 형태를 분석한 결과 현생인류와 고인류의 특징이 섞여있었다는 것. 이는 오늘날 음보족 일부가 현생인류의 것이 아닌 Y염색체를 갖고 있다는 결론에 신빙성을 더해주고 있다. 연구자들은 앞으로 사하라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신호전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식단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것. 앞으로도 생명과학의
발견
이 영양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는데 어떤 역할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많은 질병의 메커니즘이 밝혀지면서 아까운 탈락자들 가운데서 ‘흙속의 진주’를
발견
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문득 능력을 100% 발휘할 수 있는 적재적소를 찾지 못해 인정받지 못하고 묻히는 건 사물이나 사람 모두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들면서 알고 있는 몇 개 안 되는 시 가운데 하나가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훨씬 규모가 큰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운석이 부딪쳐 생긴 구덩이는커녕 운석 조각 하나
발견
되지 않았다. 참고로 소행성이나 유성체가 대기권에 충돌해 폭발하고 남은 잔해가 지구에 떨어진 게 운석(meteorite)이다. 1958년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필립 위아트 교수는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플랑크의 논문을 다시 읽어본 뒤 이 논문이 아인슈타인의 논문을 인용하고 있다는 걸
발견
하고 아인슈타인에게 사과하기도 했다. 그만큼 아인슈타인의 1905년 논문은 주목받지 못했던 것이다. 한편 1908년 물리학자 야콥 램은 아인슈타인에게 쓴 편지에서 하젠욀의 논문을 읽어봤느냐고 물어봤지만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 고세균은 세균보다도 오래 되지 않았고 그 뒤 평범한 환경에서 사는 고세균도 여럿
발견
됐기 때문이다. 이런 비판에 우즈도 1990년 논문에서 새 용어 Archaea(번역어로는 여전히 고세균)를 썼는데 부적절한 고(archae)를 고집하고 있어 이해할 수 없다는 것. 차라리 메타세균(metabacteria)라는 용어를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으로 나온다. DNA 정보 저장 실용화가 머지않았다는 말이다. DNA이중나선 구조가
발견
60주년을 맞이하는 2013년, DNA는 생명의 정보뿐 아니라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로 거듭 태어나고 있다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