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스페셜
"
발견
"(으)로 총 2,842건 검색되었습니다.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 고세균은 세균보다도 오래 되지 않았고 그 뒤 평범한 환경에서 사는 고세균도 여럿
발견
됐기 때문이다. 이런 비판에 우즈도 1990년 논문에서 새 용어 Archaea(번역어로는 여전히 고세균)를 썼는데 부적절한 고(archae)를 고집하고 있어 이해할 수 없다는 것. 차라리 메타세균(metabacteria)라는 용어를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으로 나온다. DNA 정보 저장 실용화가 머지않았다는 말이다. DNA이중나선 구조가
발견
60주년을 맞이하는 2013년, DNA는 생명의 정보뿐 아니라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로 거듭 태어나고 있다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헤마글루티닌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연구를 계속했고 그 결과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
했다. 즉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의 몸에서 형성된 다양한 항체를 분석한 결과 이 가운데 일부가 헤마글루티닌에서 변이가 잘 일어나지 않는 부분을 항원 타깃으로 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하는 가닥의 한쪽 끝에 ‘m7GpppN’으로 표현하는 갓(cap) 구조가 덧붙여져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놀랍게도 동일한 구조의 갓이 진핵생물의 전령RNA에도 존재했다. 갓은 전령RNA의 말단을 가수분해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리보솜에서 eIF-4E라는 개시인자가 달라붙어 번역을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과정을 분석해 게놈의 크기를 추측했고 동물 게놈에 반복염기서열이 있다는 사실도
발견
했다. 그는 개별 유전자보다는 유전자가 구성된 전체, 즉 게놈의 구조에 관심이 많았는데 그가 물리적 방법으로 해석한 게놈의 구조는 훗날 게놈해독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기본 골격이 됐다. 앞에서 소개한 200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humanitarian, and humanistic.” 7. 와일리 베일 (1941. 7. 3 ~ 2012. 1. 3) 스트레스 호르몬의 성배를
발견
한 생리학자 미국 텍사스 휴스턴에서 태어난 와일리 베일(Wylie Vale)은 라이스대학에서 생물학을 공부한 뒤 베일러의대에서 생리학으로 1968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0년 지도교수인 로저 기유맹이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되면서 6배체(AABBDD, 2n=6x=42)인 빵밀이 나온 것이다. 오늘날 야생에서는 6배체 밀이
발견
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빵밀은 인류가 만든 작품으로 보인다. 하지만 게놈 비교 분석으로 추론한 시기는 야콥의 시나리오보다 훨씬 오래 전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이종간 염색체가 섞이면 생물체가 제대로 살 수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나누게 된다. 이들은 문득 둘 다 당시 실험 결과에 대해 내심 찜찜해 하고 있었다는 걸
발견
했다. 그리고 SIR2가 수명에 관한 모든 걸 설명해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사실 효모 균주에 따라 수명연장에 칼로리 제한은 효과가 있지만 SIR2는 효과가 없는 경우도 있었고 그 반대인 경우도 ... ...
소리없는 살인자, 방사성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있다. 방사선의 존재가 증명된 이래 가장 주목받은 용도는 단연 의료다. 라듐이 처음
발견
되었을 때, 화장품에 섞어서 팔기도 했을 정도였다. 지금도 라돈 등의 저준위 방사성 물질이 함유된 온천은 효능이 좋기로 소문난 경우가 많다. 물론 지금은 화장품에 방사성 물질을 섞는 일 따위는 없다.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이번 게놈분석 결과 프르제발스키 말의 게놈에 가축화된 말의 게놈이 유입된 흔적은
발견
되지 않았다. 과거 몽골에서도 가축화된 말과 피가 섞이지 않았고 사람에게 잡혀 동물원으로 팔려와 수 세대가 지나 다시 몽골 초원으로 간 여정에서도 혈통을 유지했다는 말이다. 인터넷에서 보니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