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기
백척간두
위급
모험
누란지위
위태
고비
스페셜
"
위험
"(으)로 총 2,97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물과 사물이 소통한다, 사물인터넷!
KISTI
l
2015.03.17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상중이다. 운전자가 보기 어려운 차량을 보고
위험
을 스스로 감지해 자동차가 이를 피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농업 분야에서도 사물 인터넷 활용 시도가 등장했다. 농업 관개 전문 첨단 기업 ‘밸리 이리게이션’은 농작물이 뿌리를 내리는 흙 1.2m 깊이에 센서를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확률이 3분의 2다. 역시 기댓값은 똑같지만 이번에는 78%가 프로그램D를 선택했다. 즉
위험
회피 심리에 따르면 당연히 확실성이 큰 프로그램C를 선호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다. 600명 가운데 200명이 사는 것이나 400명이 죽는 것이나 똑 같은 상황임에도 사람들이 다르게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바로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발생에서 유전 요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5~10%라고 쓰고 있다. 31가지 암에 대해 기타
위험
성 지수(ERS, 세로축)를 나타낸 그래프. 지수가 큰 암일수록록 발병에 환경이나 유전 같은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뜻이다. - 사이언스 제공 논문을 읽다보니 흥미로운 구절이 보였다. 즉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회전해서 눈 덮인 경사지를 미끄러져 내려오는 겨울 스포츠다. 스릴이 커질수록 사고
위험
성도 높아지므로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정확한 회전 기술을 익히고 마찰력과 회전력을 적절히 제어해야 안전하게 즐길 수 있다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위해 교통 법규를 위반해야 할 수도 있는데, 이 때 자신의 행동이 다른 차에 미치는
위험
을 비교해 융통성 있게 결정할 수 있다. ● 터미네이터의 악몽에서 벗어나려면 일부 로봇 전문가는 윤리적 소프트웨어나 로봇윤리 로드맵(박스 기사 참조)에 거부감을 느끼기도 한다. 로봇에게 윤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포식자의 복원사업이 진짜 매력적인 이유는 생태계 균형 회복 때문이 아니라 커다랗고
위험
하면서도 멸종 위기에 몰린 맹수류에 대한 사회의 흥미 때문이라는 것. 1995년 옐로스톤국립공원에 늑대가 복원된 뒤 엘크 개체수(왼쪽)와 늑대 개체수(오른쪽)의 변화 추이. 늑대복원이 생태계에 ... ...
[만화] 9시 등교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KISTI
l
2015.02.02
하루 평균 5시간 이하를 자는 청소년이 7시간 이상을 자는 아이들보다 비만
위험
이 2.3배나 높다는 조사결과를 내놨어요. 모두 청소년들의 수면 부족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들이지.” “아침에 늦게 등교하면 밥도 많이 먹을 수 있잖아요!” “그것도 중요한 ... ...
[Green Lab_현장탐방] 음식물쓰레기에서 자동차연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1.30
기존 플랜트의 1/3 크기로 소형화할 수 있어 초기투자비용이 저렴하다. 막 분리법은 또한
위험
한 촉매를 사용하지 않거나 폐수처리 등이 필요 없어 운영에도 많은 장점이 있다. 국내처럼 플랜트를 설비할 수 있는 부지가 한정된 경우에는 막 분리법이 큰 도움이 된다. 김정훈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이런 주장이 갈릴레오 이래 수백 년 동안 물리학을 지탱해온 대전제를 무너뜨리는
위험
한 발상이라고 주장한다. 과학철학자 칼 포퍼의 요약에 따르면 이 대전제란 어떤 주장이 과학적 이론이 되려면 반증가능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신이 존재한다’는 질문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걸고 만든 첫 해류지도 오늘 교과서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배우는 해류지도는, 상당한
위험
을 감수하고 직접 바다를 관측한 덕분에 얻을 수 있었다. 360년 전인 1675년에 하펠이 만든 첫 해류 지도는 당시까지의 탐험 결과를 바탕으로 바다의 흐름을 정리하고 있다. 이 지도에 표현된 해류는 지금 보면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