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위바위보에서 이길 수 있는 전략이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냈던 패를 내지 않는 경향이 발견된 것이다. 심지어 바위, 보, 가위를 내서 진 사람은 다음 차례에 각각 보, 가위, 바위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이 연구결과를 통해 가위바위보 게임에서 이길 수 있는 확률을 높이는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며, “참가자들이 패를 무작위로 낸 ... ...
- 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결과는 오른쪽 그래프와 같다. 약팀은 1:0으로 이길 때 확률이 30%로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는 2:1로 이길 확률이 약 20%로 크다.물론 이와 같은 승률은 약팀과 강팀의 득점률이 3:7이라는 가정에서 얻은 값이다. 게다가 오늘날의 축구에서는 3:7과 같이 절대적인 실력 차이를 보기 쉽지 않다. 3:7과 같이 ...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66일 걸린다는 사실을 알아냈어. 66일 동안 스마트폰을 멀리 하고 공부 습관을 익히면 그 다음부터는 때가 되면 밥을 먹듯 공부할 수 있다는 거야.이제 스마트폰을 이기고 공부를 잘할 수 있겠지? 아자아자!습관을 바꾸려면 자기 통제를!스마트폰 사용 습관을 스스로 바꾸려면 '자기 통제'를 해야 한다. ... ...
- 보너스 + 브라주카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아래 공식에 따라 정팔면체의 한 변의 길이를 먼저 구하자. 그런 다음, 아래의 순서에 따라 브라주카를 그려 보자. 그렇다면 이번 월드컵 공인구인 브라주카는 어떨까? 브라주카를 이루는 조각의 수는 자블라니의 8개보다도 2개가 더 줄어든 6개이다. 더욱 동그란 공에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분석하면서 전자의 내부 스핀을 감안한 파울리 방정식으로 곧 승격됐고(1927년), 바로 그 다음해에 상대성이론의 효과를 감안한 섬세한 방정식을 캠브리지 대학의 폴 디랙이 발견했다. 디랙 방정식은 놀랍게도 반물질의 존재도 예측하기 때문에 당연히 20세기 과학의 가장 중요한 방정식 중 하나다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맞습니다. 여름 내내 볼 수 있지만, 꽃 한 송이의 수 명은 하루예요. 한 송이가 피고 지면 다음날 옆의 꽃송 이가 피고 지기를 반복하지요. 원추리 종류를 총칭하는 라틴어 속명 헤메로칼리스(hemerocallis )는 ‘하룻날의 아름다움’이란 뜻을 지니고 있고, 영어 이름 역시 데이 릴리(Day Lily)입니다.우리 ... ...
- 서울숲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등에서 열렸고,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개최되기는 처음이다. 행사는 14일 오후 2시부터 다음날 오후 2시까지 24시간 동안 진행된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서울숲의 식물, 곤충, 버섯, 조류 등을 관찰하고 탐사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서울숲의 변천사 등 인문학적인 주제를 다루는 교육도 준비돼있다. ... ...
- 응답하라! 아빠 엄마 어렸을 적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항상 달콤한 냄새가 솔솔 풍겼어요. 바로 '달고나' 냄새였지요. 달고나는 설탕을 녹인 다음 베이킹소다를 넣어 만든 과자예요. 설탕만 옥였을 때는 투명한 액체이지만 베이킹소다를 넣으면 액체가 뿌옇게 변하면서 부풀어 올라요. 베이킹소다에서 생기는 이산화탄소 때문이지요.베이킹소다의 다른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속한 나라를 8개로 맞춘다(이번 월드컵의 경우 이탈리아가 2그룹으로 뽑혔다). 그런 다음 각 그룹에서 무작위로 한 나라씩 추첨해 조 편성을 한다.이렇게 4개의 그룹이 편성되면 축구전문가들은 최고의 조와 최악의 조를 미리 조합해 보기도 한다. 이번 월드컵의 경우 우리나라 입장에서 최악의 조 ... ...
- 선택 2014, 무한도시 시장을 뽑아라!수학동아 l2014년 06호
- 6명을 차례대로 줄 세우는 경우의 수와 같다. 처음 맨 앞에 설 수 있는 사람은 6명이고, 그 다음 자리에 설 수 있는 사람은 5명이다. 이를 반복하면 총 720(=6×5×4×3×2×1)가지의 경우의 수가 나온다. 이 같은 계산법을 !(팩토리얼) 또는 계승이라고 하는데, 1부터 어떤 양의 정수 사이의 정수를 모두 곱한 ... ...
이전2792802812822832842852862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