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다 소용돌이, 우주의 블랙홀과 닮았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스위스의 연방공과대와 미국 마이애미대 연구팀이 바다 속 거대한 소용돌이가 우주의 블랙홀과 수학적으로 닮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바다 속에는 일정한 흐름을 띤 해류가 있다. 해류는 바닷물의 온도와 염분의 차이로 인해 움직이는데, 이는 염분과 열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지구의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사이먼스 이론’이라는 제 이름을 딴 수학 이론까지 만들었지요. 천-사이먼스 이론은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끈이론’이라는 이론물리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답니다. 덕분에 미국수학회에서 우수한 기하학 연구자에게 주는 ‘오스왈드 베블렌 상’을 타기도 했지요.매스 CEO로 변신한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없는 ‘중력자’라는 입자가 있어서 중력을 주고 받게 해주기 때문이다. 또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보다 5배나 많지만 전혀 관측이 되지 않는 ‘암흑물질’의 후보 물질도 확 늘어난다. 초대칭이론은 표준모형의 입자와 중력자가 모두 대칭적인 짝 입자를 갖고 있다고 보는데, 이 가상입자들은 대부분 ... ...
- 아이손이 다가온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21년 전인 지난해 9월 21일 하늘에서 새로운 천체가 발견됐다. 러시아 천문학자를 중심으로 한 ‘아이손(ISON)’이라는 국제 연구그룹이 40cm 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한 천체였다. 처음 ... 혜성의 몸통이 유성우를 만드는 것이다. 아이손 혜성의 방문은 여러모로 흥미로운 우주쇼가 될 것이다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어느나라나 군용보다는 민수용 항공기 생산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도 항공·우주 분야 강국으로 거듭나려면 무엇보다 민수용 항공기를 개발하고 시장을 창출에 성공해야 한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곤란한 건 역시 외국기업과의 협력이다. 기술이야 연구비를 투자해 ... ...
- [과학뉴스] 토성, 타이탄에서 플라스틱 재료 발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필요 없을 것 같다. 현지에서 찾아낸 재료로 플라스틱을 만들면 되기 때문이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카시니호의 적외선 분광기로 타이탄의 대기를 분석한 결과 플라스틱의 재료인 프로필렌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프로필렌은 음식을 담을 때 사용하는 플라스틱 용기나 합성 섬유, 자동차 범퍼 등 ... ...
-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세계 최초 시험 비행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미 미국에서 실전 배치됐지만 무인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다.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10월 17일 전남 고흥군 항우연 비행장에서 휴대용 무선 조종장치로 ‘KUS-TR’을 조종해 약 30분 동안 안정적으로 비행했다.시험비행 단계라 현재는 비행기를 눈으로 보면서 조종해야 하지만, ... ...
- 오직 근육의 힘으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도전하던 모습이 감동적이었다고 덧붙였다.전북대 ‘파이어(FIRE)’ 조종사 김상기(항공우주공학과 1학년) 학생은 이번 기회로 새로운 꿈을 갖게 됐다. 그는 “선배들 권유로 우연히 참여하게 됐는데, 정말 짜릿한 경험을 했다”며 “파일럿의 꿈이 생겼다. 내년에 한 번 더 도전해서 꼭 수상할 ... ...
- 다시 별의 낭만을 꿈꾸며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보며 인간으로서 해야 할 일을 찾고 영감을 얻던 시대가 언제였는지 까마득하다. 별과 우주에 대해 과거 어느 때보다 잘 알고 있는 과학의 시대지만, 정작 우리는 일상에서 별을 보거나 만날 일이 거의 없다. 별과 사람 사이가 이렇게 가까우면서도 또 멀었던 적은 일찍이 없었다.지금이라도 ‘갈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미 예선을 통과하고 올해(2013년) 12월 열리는 연말 최종 경진대회에 참여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 세계적인 연구기관이 출전하기 때문에 우승을 장담하긴 어렵지만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 오 교수는 “세계 각국에서 휴보2를 통해 로봇제어 기술을 연구하고, 그 성과를 공유하는 ‘휴보 공동 ... ...
이전2792802812822832842852862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