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동차
차량
탈것
카
승용차
수레
티
d라이브러리
"
차
"(으)로 총 5,439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거듭되는 실패를 무릅쓰고 불굴의 의지로 보물선을 탐사해서 가장 값비싼 보물선인 아토
차
호를 찾았단다. 카리브 해에서 보물 찾는 탐사를 통해 경험이 풍부한 해난구조팀도 만들었지.세계의 보물선북유럽 바이킹선중세 유럽의 바이킹은 침략자이자 상인, 탐험가였단다. 바이킹은 독특한 ... ...
극비공개 괴물동물원 비밀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필요하지? 또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어떻게 이동하는 걸까?영화 속의 이무기가 빌딩숲과
차
들이 빽빽한 도로를 거침없이 누비는 모습은 나의 눈길을 확 잡아끈다. 발도 없으면서 어떻게 그렇게 잘 움직이는 걸까? 나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양서파충류연구소 심재한 박사님께 물어 보았다 ... ...
봉도사의 벼락을 피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한다.• 자동
차
에 타고 있을 때는
차
를 세우고 안에 그대로 있는다. 번개에 맞더라도
차
표면을 따라 땅으로 흘러 안전하다.• 번개가 칠 때 전화 통화를 하는 것은 번개를 유도할 수 있어 위험하다.사건 해결 - 우비장수 봉도사번개 위에 메가번개 있다!보통 번개는 구름 아래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 ...
해리포터와 불사조기사단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그건 내가 네 마음속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야. 내 목적은 널 조종해서 예언의 구슬을
차
지하는 거지. 그런데 머글들도 최면술이란 걸 쓴다더군. 최면은 잠자는 것도 아니고 깨어 있는 것도 아닌 중간 상태로, 이 상태에서는 몸과 마음이 느슨하게 풀리지. 최면 상태에서는 반복적인 말과 같은 ... ...
시골 곰개미의 도시 탐색기 내 친구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냄새와 비슷하거든. 이 때 알코올은 곤충을 마취시키는 역할을 하지.당밀 대신 자동
차
에 쓰이는 부동액을 넣어 함정을 만들 수도 있어. 부동액을 넣은 뒤 10일 정도 지나서 가 보면 돼. 이 방법은 먹이로 유인하는 게 아니라 우연히 그 곳을 지나가던 곤충들이 함정에 빠지도록 하는 거야. 부동액에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과거 속으로1646년 7월 1일수학자 라이프니츠 출생독일의 수학자 겸 물리학자. 뉴턴과 별도로 미적분학의 개념을 만들었으며 미적분의 창시자 자리를 놓고 뉴턴과 ... 알아서 해 줄 것이다. 일본 도요타자동
차
는 지난해 벌써 컴퓨터가 알아서 운전대를 움직여 주
차
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 ...
점점 커지는 구덩이는 외계인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볼 수 있었다.“외계인의 흔적이란 증거는 또 있어요. 원래 저쪽 구덩이에는 물이 가득
차
있었어요. 그런데 어느 날 아침에 보니 찰랑대던 물이 감쪽같이 사라져 버린 거예요!”“웅덩이 바닥이 다 드러나 있더라니까요. 그 때의 충격이란!”커다란 웅덩이의 물이 갑자기 말라 버렸다고? 이건 또 웬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정성적(定性的)인 성질에 있어서 보통의 물과 거의 다르지 않지만, 정량적으로는 큰
차
이를 보여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적고 염류의 용해도 등도 낮다 생물의 경우 중수의 농도가 적을 때는 생체에 대한 저해작용이 별로 없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정상적인 호흡작용이나 탄소동화작용이 곤란해진다 ... ...
나의 카메라 속 남극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피서철 바다와 맞먹는다. 더구나 하얀 얼음과 눈, 바다는 햇빛을 고스란히 반사시켜 눈조
차
제대로 뜰 수 없다. 아무 것도 모른 채 추위와 햇빛을 상대로 겁없이 덤볐지만 남극에서 사진을 찍는데 익숙해지기까지 적잖은 시간이 걸렸다.장난꾸러기 펭귄과 비행의 달인 스쿠아남극에 오기 전까지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인간의 필요에 의해 발명됐지만 환경을 파괴하거나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가
차
없이 버려진 플라스틱도 있지. 하지만 그 과정에서 우린 더 강해졌고 창의성을 발휘했어. 명심하거라. 앞으로도 플라스틱의 도전은 끝이 없다는 사실을. 너처럼 어린 플라스틱의 손에 우리의 미래가 달려있단다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