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부드러운 몸으로 점프하는 로봇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개발했어요. 캘리포니아대 마이클 톨리 교수는 홍합이 부드러운 면과 딱딱한 면을 모두 활용하는 모습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로봇의 딱딱한 심장에는 전자 회로, 전력 공급 장치, 배터리 등이 포함돼 있어요. 이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부드러운 ... ...
- [가상인터뷰] 사막의 더위를 이기는 사하라 은색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뿜어낸다는 것도 알아냈죠. 유 교수팀은 앞으로 건물을 차갑게 냉각할 때도 우리의 털을 활용할 수 있을지 연구할 계획이랍니다.이처럼 나는 다른 생물과 달리 독특한 삼각형 털이 있어서 사하라 사막의 더위에도 끄떡 없어요. 당신과 함께 지구 정복 여행을 떠날 생각이 전혀 없답니다. 다른 데 가서 ... ...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있는 통신, 방송, 기상, 과학, 지구관측 등의 역할을 드론이 대신 하게 될 거예요.드론을 활용해 통신망을 넓히려는 시도는 이미 시작됐어요. SNS 서비스 회사인 페이스북은 태양열로 비행하는 글라이더 모양의 드론 ‘아퀼라’를 만들었어요. 아퀼라는 약 18~28km 높이의 상공에서 날면서 통신망이 ... ...
- 대나무 없인 못 살아! 판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급격하게 줄었기 때문이에요. 파울로 그랑종은 사람들에게 판다의 위기를 알리기 위해 재활용 종이로 판다 인형 1600개를 만들었어요. 그리곤 ‘1600 판다+의 세계여행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전세계를 여행하기 시작했어요. 8년 동안 프랑스와 네덜란드, 독일, 이탈리아와 타이완, 홍콩,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반면 배후 습지는 아주 고운 입자인 점토로 이루어져 있어 물이 잘 고이기 때문에 논으로 활용된답니다.三角洲 삼각주 (석 삼, 각도 각, 물가 주)강이나 호수가 바다와 만나는 곳에서 생긴 삼각형 모양의 퇴적지형을 삼각주라고 불러요. 선상지를 지난 물길은 계속 흐르다가 바다에 닿기 전에 여러 ... ...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12호
- 활용했다. 또 다른 업체에서는 스마트폰을 앞으로 숙이거나 뒤로 젖히는 동작을 활용했다. 결과는 극과 극이었다. 소비자는손가락 두 개만으로 사진 크기를 마음대로 조절하는 ‘더 편한’ 제스처를 골랐다.제스처는 무조건 쉽고 편해야 한다. 동작만 보고도 어떤 명령인지 추측할 수 있어야하고, ... ...
- 알록달록~! 걸음걸이를 알려 주는 신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젠 빨강, 초록, 파랑 3가지 색깔로 걸음걸이를 확인해 볼 수 있게 됐어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질량힘센터 김종호 책임연구원 팀이 촉각센서와, 알록달 ... 협력해 상용화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걸음이 불편한 중풍 환자와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교과서 밖으로 나온 수학,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불변성(변하지 않는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다.“수학자로 연구생활을 하면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오랫동안 생각해 왔어요. 그러다가 생각한 것이 바로 데이터였어요. 미 연방부에서 1000만 달러(약 114억 원)를 지원받아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개발했고, 2008년 아야스디를 창업했어요.”칼슨 ...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용한 발전 모듈을 개발한 부산 경성대의 ‘T4U’ 팀이 대상을 차지했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 압전발전 모듈로, 등산지팡이와 애견목줄에 적용했다. 배종남 씨(경성대 4학년)2는 “충돌에너지로 전기를 만드는데, 이때 이용되는 충돌 방식을 기존의 면에서 점 방식으로 변경해 효율을 ... ...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그런데 최근 국내연구진이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을 파킨슨병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뇌’ 10월 2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주인공은 진병관 경희대 의대 교수와 남진한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연구원이다. 이들은 어떻게 고추와 파킨슨병을 ... ...
이전2792802812822832842852862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