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공룡전문가 이융남 박사
수학동아
l
201006
강점기 시절 한반도에는 공룡이 없다고도 알려졌거든요. 그러다가 1972년 경남 하동에서
처음
으로 공룡알 껍데기 파편이 발견됐어요. 다음 해 경북 의성에서 공룡뼈가 발견되면서 우리나라에도 공룡이 살았다는 게 알려졌죠. 그러다가 1980년대 들어서 경남 고성을 시작으로 남해안을 따라 수많은 ... ...
안정한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06
관계를 회전대칭이라고 한다. 4개의 날개를 가진 풍차나 바람개비는 90°로 회전할 때마다
처음
의 도형과 겹치는 회전대칭 구조로 이뤄져 있다.회전대칭 중에서 횡단보도의 화살표나 우측통행 스티커와 같이 180°로 회전할 때 겹치는 경우를 점대칭이라고 한다. 태극기 가운데 있는 태극무늬가 좋은 ... ...
작전명령 ① 대포를 정확하게 쏴라!
수학동아
l
201006
나타낸 그림이야. B에서 쏜 발사체는 발사 직후 서서히 아래로 휘어지는 곡선 형태가 돼.
처음
물체가 떨어지는 길이인 CG의 길이와 DI의 길이의 비는 1:4였어. 그리고 CG와 EK의 비는 1:9였지. B부터 E까지 간격이 일정하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가로의 길이가 2배, 3배 될 때마다 수직으로 떨어지는 ... ...
수학이 좋아지는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1006
어렵다고 생각하잖아요. 이런 생각을 좀 바꿀 수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처음
에는 수학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별로 없어서 걱정도 했어요. 기억에 남는 일이라면 그리스의 현지 연기자들 생각이 많이 나요. 옛날을 재연한 장면이 필요했는데, 그리스에서는 현지 연극배우가 연기를 해 주었죠.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06
또 다른 문……. 지오는 비밀 장소라도 찾아드는 기분이 들었다. 더욱 신기한 것은
처음
엔 자그마하던 문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문을 대여섯개 지나자 ‘천지관(天地官)’이라 쓰인 현판 앞에 닿았는데, 그 문은 궁궐 대문만큼이나 컸다. 천지관 앞에 서자, 무언가에 홀린 듯 지오는 ... ...
플랫랜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006
볼까요? 만약 실제 사람이 2차원 세계를 통과한다면 어떻게 보일까요? 발부터 통과한다면
처음
에는 두 개의 타원 비슷한 곡선으로 보일 겁니다. 발목이 통과할 때는 두 곡선이 좀 더 동그래지고 점점 크고 가까워지겠지요. 그리고 허리 부근에서는 하나로 합쳐지면서 양쪽에 팔에 해당하는 원이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06
직각이다.수학의 역사에서 어떤 발견을 해 낸 것으로 이름이 알려진 수학자는 탈레스가
처음
입니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은 탈레스를 최초의 수학자라고 부릅니다.피타고라스도 그리스 수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람입니다. 피타고라스는 기원전 572년경에 태어났으며 탈레스와 비슷한 시기에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06
CC형은 5% 미만이다.논문이나 문헌에 나와 있는 SNP 정보가 ‘내 얘기’라는 생각에
처음
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연구’했는데, 반나절을 컴퓨터에 매달려 있다 보니 한계에 다다랐다. 역시 생명정보학을 통해 SNP 데이터와 방대한 관련 자료를 종합한 뒤 일목요연한 보고서를 제공해주는 23앤드미 ... ...
은방울꽃 향기, 남자가 더 잘 맡는다
과학동아
l
201006
후각 민감도 차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지 111년 만에
처음
으로 남자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냄새분자를 찾았다.스웨덴 린쾨핑대 생물학과 매티아스 라스카 교수팀은 은방울꽃의 은은한 향기의 주성분인 부르지오날(bourgeonal)에 대한 냄새 역치 실험을 통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후각과 미각 분야 ... ...
줄기세포로 청각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06
청각세포로 만드는 방법을 재미 한인 과학자가 세계에서
처음
으로 알아냈다.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줄기세포연구소 신근유 박사(사진)는 “쥐의 줄기세포를 청각 기능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달팽이관의 유모(有毛)세포로 성장시키는 방법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적 가치를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