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우주인후보, 크리스마스에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701
돌기도 했다. 벽을 차고 수평이나 대각선으로 날아가고 공중에서 우주복을 입고 벗으며
100
kg의 물건을 옮기는 훈련을 했다. 비행기는 1시간 30분간 10회 이상 무중력환경을 만들었다.“어쩌다 허공에서 중간에 멈춰 버렸는데, 아무리 발버둥쳐도 이동하지 못하겠더라고요. ‘혹시라도 우주에서 이런 ... ...
크리스마스트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4
구상성단이에요. 구상성단은 수만에서 수백만 개의 별들이 공 모양으로 모인 곳이에요.
100
억 년 이상 된 나이든 별이 모여 있지요. 우리 은하계에서는 지금까지 구상성단이 130여개 발견됐어요. 이 곳의 별을 트리에 흩뿌리면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트리가 되겠죠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4
했으며, 마술에 대한 책도 썼다. 프랑스에서는 로베르 후뎅을 기리기 위해 그가 죽고 난
100
년 후에 기념우표를 발행하기도 했다.2. 청링수(미국, 1861-1918)특기 총알 잡기미국인이면서도 중국인 행세를 하면서 마술을 했다. 총알에 표시를 한 뒤 마술사를 향해 총을 쏘게 하여날아오는 총알을 잡는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보관하고 있단다.미국자연사박물관은 곤충에서 고래까지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동물
100
만종의 유전자와 생체조직을 보존할 계획이야. 이렇게 보존된 유전자와 생체조직은 생명의 진화에 대한 소중한 정보가 될뿐만 아니라 멸종위기 동물들의 유전학 연구에도 쓰인단다. 단, 동물 복제에는 쓰지 ... ...
화산섬에서 과학과 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전류가 잘 통하는 도체고요. 하지만 아주 센 전류라면 가능합니다. 큰 유리판을 향해
100
만 볼트의 벼락을 만들어 쏘자 전류가 유리를 통과했어요.벼락 치는 날 자동차 안은 안전할까요? 금속은 전류를 잘 통하는 도체이기 때문에 위험할것 같다고요? 이 궁금증도 실험으로 확인했어요. 자동차에 ... ...
광우병은 무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사람 역시 인간광우병에 걸릴 수 있다. 아직까지 확실한 치료법이 없어서 발병하면
100
% 사망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인간광우병이 21세기에 가장 위험한 전염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동우의 방송은 독특한 진행 방식으로 인기가 많아서 이미 동우의 휴대전화 서버를 통해
100
명이 넘는 사람들이 접속한 상태다. 오늘은 국립서울과학관에서 열리는 샌프란시스코 과학놀이체험전을 소개할 예정이다.준비를 하고 나가려는 순간 갑자기 휴대전화를 통해 어머니의 동영상 메시지가 왔다. ... ...
낙엽수집가 ' 이리거러도 바스락'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1 낙엽은 모두 몇 장?먼저 축구장의 크기를 알아야 했다. 국제 축구경기장은 길이가 최소
100
m에서 최대 110m, 폭은 최소 65m에서 최대 75m이어야 한다. 이리거러도 바스락이 직접 축구장을 재 보니 길이 110m 폭 70m이었다. 낙엽이 가로세로 1m의 정사각형 안에 120장 들어간다고 할 때 축구장을 모두 메우기 ... ...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수 있단다. 내 뒤를 이어 아인슈타인의 얼굴을 닮은 알버트 휴보가 태어났고, 몸무게
100
㎏의 사람을 태울 수 있는 휴보FX-1이 개발되었어. 아마 미래에는 집집마다 나같은 휴머노이드 로봇이 가족처럼 사랑 받으며 함께 살 거야. 안드로이드 VS 휴머노이드안드로이드는 겉모습 특히 얼굴과 행동이 ... ...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한국의 도시들. 하지만 뭔가 아쉬운 기분이 드는 건 왜일까? 한국의 도시에서는 불과
100
년 전에 지은 건물조차 찾아보기가 힘들어. 더 편리한 생활을 누리기 위해 조상들이 만든 환경을 송두리째 바꿨기 때문이지. 나폴리와 로마에서
100
0년이 넘는 건물은 정말 흔하단다. 1900년 전 로마제국의 네로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