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보고는 이렇게 말했다. “무한은 세 배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종국에는 불
가능
하다. 왜냐하면 무한보다 더 큰 것은 전혀 없기 때문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Part 3. 실수 손님도 ... ...
[매스미디어] 레고 닌자고 무비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둥그렇게 생긴 벽을 타고 올라가거나 통나무 하나만 이용해 호수를 건너는 것도
가능
해. 물론 터득하는 데는 수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지. 또 칼이나 표창을 던져 적을 공격하는 것도 우리의 주특기야. 우리 닌자들의 기술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고? 너희에게만 특별히 알려줄게. 수리검 ... ...
[교과연계수업] 작을수록 더 위험한, 미세플라스틱의 위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알갱이를 본 적 있나요? 제품 뒷면에 ‘폴리에틸렌’이 써 있다면 미세 플라스틱일
가능
성이 높답니다. 미세 플라스틱들은 다른 쓰레기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져요. 그 중에서도 처음부터 작게 만들어진 플라스틱을 ‘1차 미세 플라스틱’이라고 해요. 그런데 미세 플라스틱이 ... ...
[과학뉴스] 비트코인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글로벌전략 애널리스트는 올해 6월 보고서를 통해 “가상화폐 시스템 자체가 붕괴될
가능
성은 높지 않으나 급등했던 가치가 급락할 위험은 상존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비트코인에 투자를 생각하고 있다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
[과학뉴스] 진주 만드는 조개의 핵심 ‘레시피’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과정이 반복되면서 만들어진다. 진주층은 바위보다 단단해서 뼈 이식재료 등으로 활용할
가능
성이 높지만 형성 원리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차형준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와 최유성 충남대 응용화학공학과 교수팀은 그 비밀을 밝히고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8월 2일자에 발표했다. 진주층의 ... ...
[포토 뉴스] 건물로 전기를 만든다 솔라 스퀘어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태양광 산업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산 바이그 영국 엑스터대 환경및지속
가능
성연구소 박사는 새로운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솔라 스퀘어’를 개발했다. 건물 외벽에 벽돌이나 유리창 대신 설치할 수 있는 유리 블록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용 태양광 패널은 검은색을 띤 판 형태다.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개념을 최초로 생각해낸 해밀턴은 특이점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하지만 페렐만은 불
가능
한 것처럼 보였던 이 문제를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파고들었다. 그 결과 페렐만은 특이점을 잘라냈다가 다시 봉합하는 수술을 하면 된다는 기발한 아이디어로 문제를 해결했다. 위상수학에서는 모양을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당연히 아무나 들어가기 어려웠다. 신원이 확실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들어가는게 거의 불
가능
했다. 등에서 식은땀이 흘렀다. 엄마의 편지를 다시 한번 꺼내보는 하림의 손이 미세하게 떨렸다. 자신이 해야 할 일이 있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나 빠를 줄은 몰랐다. 서서히 다가오는 태풍인 줄 ... ...
[가상인터뷰] 알을 먹고 쑥쑥 자라는 곤충?!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어미는 천적이 풍기는 화학물질의 냄새를 맡고 주변에 있는 천적의 존재를 확인할
가능
성이 크다”고 설명했어요. 이 곤충의 주요 천적인 노린재는 고약한 냄새를 풍겨 방귀벌레라고도 불리거든요.너처럼 알을 먹는 곤충이 또 있니?저처럼 같은 종의 알을 먹는 곤충은 많아요. 어미가 낳은 알은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인터뷰에서 “새로 개발한 로봇 손은 차량의 문을 열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한 작업이
가능
하다”며 “사람이 양손으로 나이프와 포크를 사용하는 것처럼, 팔 하나가 로봇의 작업 유연성(flexibility)을 드라마틱하게 증가시킨다”고 밝혔다. 두 팔은 경사면이나 계단에서도 도움이 된다. 한 팔을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