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건축에 대한 발칙한 상상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실내 중앙에 책상과 의자가 놓인 부분이 공중으로 떠오를 수 있다. 그 부분만 바닥이 위아래로 이동해 1층과 2층을 연결한다. 이 집 주인은 교통사고를 겪은 뒤 다리가 불편해 하루 종일 휠체어를 타고 다닌다. 쿨하스는 엘리베이터를 색다르게 설치해 주인이 1, 2층을 편하게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이 ... ...
- 제주도 닮은 에트나 산 출생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떨어진 곳에 캐리비안 수렴형 경계가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여기서는 유라시아 판 아래로 아프리카 판이 잠긴다.쉘라트 박사는 “지각이 수렴하는 곳에서 조금 떨어진 지역은 맨틀 윗부분에 가해지던 힘이 줄어들어 지각이 녹을 수 있다”며 “액상으로 흐르던 맨틀이 그 틈으로 밀려나와 땅 ...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과학동아 l2010년 11호
- 푸는 문제가 아니라 대단원의 전체적인 내용을 알아야 풀 수 있는 종합적인 문제다. 아래 그림은 9월 모의평가의 19번 그림으로 운동량과 충격량, 운동 에너지 그리고 상대속도 개념을 모두 알고 있어야 풀 수 있는 통합 문제다. 고득점을 얻으려면 마찰력, 도르래, 운동량과 충격량, 에너지 등이 섞여 ...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똑바로 자르지 못하는 경우가 있지? 그래서 자의 중앙에 칼이 지나가는 길을 만들고, 자 아래에 작은 칼을 달아 안전하게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자를 수 있게 했어.종이를 더 길게 잘라야 할 때는 윗판과 아랫판을 펼쳐서 이용하면 돼. 윗판과 아랫판의 연결부는 자석으로 만들어 결합과 연결을 쉽게 ... ...
- Part 2.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모음 하나(•)와 자음 3개(ㅿ,ㆆ,ㆁ)가 더 있었지. 모음 중에서도 기본이 되는 ‘•(아래 아)’는 한글이 만들어질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어. 그리고 자음 ㅿ은 여린 시옷으로 ㅇ과 ㅅ의 중간음을, ㆆ은 목구멍에서 나는 소리로 ㅎ보다 깊고 ㅇ보다 얕은 소리, 그리고 ㆁ은 여린 기역으로 목구멍과 ...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이때 빠르게 흐르는 공기는 천천히 흐르는 공기보다 압력이 낮다. 이런 압력차이가 날개 아래쪽에서 위로 미는 힘인 양력을 발생시킨다.러시아 면적은 중국의 5배? 첫 수업은 사회다. 오늘은 세계의 각 나라가 가지는 문화와 특성을 지도를 보면서 지역적 특성과 연관 지어 배울 예정이다. 그런데 ... ...
- 새가 도구를 만들고 교육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높은 곳에 올라가지 말아주세요. 그건 그렇고, 제가 높은 곳을 무서워한다는 걸눈치채고 아래로 내려와 준 건가요?맞아요. 올라오면서 눈이 커지고 식은땀을 삐질삐질 흘리는 데 척 보면 다 알죠. 그래서 불쌍한 사람 한명구하는 셈 치고 이렇게 제가 내려왔어요.사람들은 흔히 머리가 나쁜 사람을‘ ...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남해와 동해, 심지어 멀리 일본 근처 바다에서까지 나고 있었지. 그런데 해수면보다 아래에서 들리는 것으로 보아 비행물체가 아니라 바다 속을 떠도는 물체 같았어.하지만 바다로 들어갈 수는 없으니, 신호가 향하는 곳을 먼저 가 보기로 했어. 그 곳은 부산아쿠아리움. 우리는 잠시 예쁜 바다 ... ...
-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화산보다 조금 더 떨어진 동쪽에는 ‘카틀라’라는 큰 화산이 있어요. 화산 깊숙한 아래에 마그마가 고여 있는 곳을 ‘마그마챔버’라고 하는데, 이번 화산 폭발로 ‘카틀라’ 화산의 마그마챔버의 균형이 깨졌을 가능성이 커요. 아이슬란드 정부에서는 ‘카틀라’ 화산도 곧 폭발할 것으로 ...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1851년 삼진을 도입하면서 50피트(15.15m)로 멀어졌다. 이때까지 투수는 공을 엉덩이 아래 높이에서 던져야 했다. 거리가 멀어진 만큼 투수의 팔이 올라가기 시작하더니, 1884년에는 어깨 높이에서도 던질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공의 속도가 빨라져 타자에게 불리하다고 알려지면서 1893년에야 지금의 ... ...
이전280281282283284285286287288 다음